[쿠키뉴스] 강한결 기자 = 세계 최대 게임업체로 부상한 중국의 텐센트가 국제 분쟁의 핵심으로 떠올랐다. 텐센트는 한국 주요 게임사의 지분도 상당부분 보유하고 있는 상황인데, 해당 게임사의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텐센트는 대규모 투자를 통해 라이엇게임즈(100%), 그라인딩기어게임즈(80%), 에픽게임즈(40%), 액티비전블리자드(5%), 슈퍼셀(84.3%) 등 글로벌 주요 게임사의 지분을 다수 확보했다.
한국시장에서도 텐센트의 영향력이 점차 증가하는 모양새다. 카카오게임즈의 경우 자회사 에이스빌을 통해 지분 5.63%를 보유하고 있다. 크래프톤의 경우 지분 13.2%를 보유하면서 2대 주주다. 넷마블의 경우 17.5%의 지분으로 3대 주주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최근 텐센트가 미·중 갈등의 핵으로 부상하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 정부는 지난 20일 부터 텐센트에 대한 제재에 나섰다. 미국 외국인투자위원회(CFIUS)는 라이엇게임즈, 에픽게임즈를 비롯해 텐센트와 제휴한 게임업체들에 대해 미국인의 개인정보 취급 관련 데이터 보호 규약을 문의하고 나섰다.
다수의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국내 게임업계도 현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국내 주요 업체의 지분을 보유한 텐센트가 화웨이와 같은 제재를 받는다면, 향후 매출에 큰 변수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텐센트와의 접점을 끊어내는 것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몇 년째 외자 판호 발급이 굳게 닫친 시점에서 국내 게임사들이 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텐센트의 힘이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넥슨의 '던전앤파이터' 역시 텐센트의 퍼블리싱으로 중국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던전앤파이터'는 중국 최고 동시 접속자 500만명 등을 기록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고, 넥슨 매출의 막대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텐센트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문제로 국내 게임업계가 피해를 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지난달 13일 중국에서 서비스를 하기로 예정된 '던전앤파이터 모바일'의 출시일은 여전히 미정이다.
당시 넥슨은 텐센트게임즈의 ‘미성년자 게임 의존(게임 내 과몰입) 방지 시스템’ 적용 작업이 늦어지면서 일정을 조정했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지난 2월부터 미성년자의 게임 과몰입을 막기 위해 게임 이용 가능 시간을 강제하고 있다.
하지만 업계 내에서는 텐센트가 출시 하루 전까지 이러한 작업을 미루고 있었다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지는 주장이라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한 업계관계자는 "자세한 내막은 모르지만, 중국정부와 텐센트 사이에서 무언가 이슈가 생긴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남기기도 했다.
크래프톤 역시 텐센트와의 연관성으로 인해 게임 수출에 차질을 빚고 있다. 인도 정부는 지난 2일 중국 스마트폰 앱 118개의 사용을 금지했다. 여기에 크래프톤의 자회사 펍지가 만든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이 포함됐다. 인도 정부는 보안 등을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중국과의 국경 분쟁에 따른 보복 성격이 짙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이 금지 목록에 들어간 것은 이 게임의 해외 유통을 텐센트가 맡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가 불거지자 크래프톤의 자회사 펍지주식회사 측은 "텐센트의 인도 현지 '배그 모바일' 퍼블리싱(게임유통)에 대한 권한을 철회했으며, 향후 인도에서 제공되는 모든 펍지 서비스는 직접 담당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여기에 미·중 갈등까지 격화돼 텐센트가 공격의 대상이 된다면, 이 회사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국내 게임사의 미국 내 서비스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는 상황이다. 일부 관계자들은 "미국과 중국 모두 향후 한국 게임업계가 진출해야 하는 시장"이라며 "미국이 텐센트를 통해 중국을 제제한다면 한국 게임산업에는 결코 긍정적일 수는 없을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다만 텐센트가 지분을 보유한 것만으로는 국내 게임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는 것이 아직까지는 업계의 중론이다.
sh04kh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