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고법 형사1부(정준영 재판장)는 지난 18일 이 부회장에게 징역 2년6개월의 실형을 선고했다. 박 전 대통령과 최씨에게 경영권 승계 등을 도와달란 청탁과 함께 뇌물을 건넨 혐의로 지난 2017년 2월 기소된 지 약 4년 만이다.
이에 따라 삼성은 총수 부재에 따른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하게 됐다. 지난 2017년 2월 이 부회장이 처음 구속됐을 당시 삼성은 총수 중심 경영 체제에서 계열사별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했다. 구속 1년만인 지난 2018년 2월 이 부회장이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로 풀려나자 이 부회장과 계열사 CEO들은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하며 '뉴삼성'을 이끌어갔다.
하지만 코로나19, 미중 무역 분쟁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 부회장이 구속됨에 따라 구심점을 잃게 된 삼성의 앞날은 시계 제로상태가 됐다. 그룹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던 미래전략실이 폐지된데다 이 부회장까지 부재하면서 그룹 주요 사안 결정이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 부회장이 처음 구속됐던 지난 2017년에도 대규모 투자계획이나 중대한 의사결정은 모두 미뤄졌다. 실제 이 부회장이 처음 구속되기 3개월 전에 자동차 전장업체 미국 하만을 인수한 이후 현재까지 삼성은 굵직한 인수합병(M&A)이 실종된 상태다. 또 임원 인사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등 경영 전반이 차질을 빚었다.
재계는 선거를 앞두고 이 부회장과 삼성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집행유예로 선처가 필요하다는 탄원 의견을 잇달아 냈으나 이날 재구속으로 무위에 그쳤다.
경제단체들은 이 부회장 구속에 일제히 우려를 표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이 부회장은 코로나발 경제위기 속에서 과감한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지휘하며 경제를 지탱하는 데 일조해 왔다"면서 "장기간의 리더십 부재는 (삼성의) 신사업 진출과 빠른 의사결정을 지연시켜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게 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한국경영자총협회도 입장문을 통해 "경제적 불확실성이 그 어느 때보다 큰 상황에서 삼성의 경영 공백으로 중대한 사업 결정과 투자가 지연됨에 따라 경제·산업 전반에도 악영향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향후 삼성의 경영 차질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정책적·행정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외신도 이 부회장 구속 소식에 주목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미·중 리스크, 코로나19 등으로 경쟁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메모리칩·스마트폰·소비자가전 기업의 수장 자리 공백은 (삼성전자의) 장기 프로젝트나 대규모 투자를 어렵게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이 부회장은 사실상 삼성전자의 경영 톱(수장)이 될 예정이었지만 삼성은 다시 '톱 부재'라는 비상사태에 직면하게 됐다"며 "이 부회장이 재수감되면서 한국 최대 기업의 경영자가 정해지지 않는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부회장이 이날 법정구속되자 삼성그룹 계열사 주식들이 일제히 빠졌다. 하루 만에 삼성 계열사 시가총액이 약 28조원가량 증발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삼성전자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3.14%(3000원) 하락한 8만5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부회장이 최대주주인 삼성물산은 전 거래일보다 6.84%, 삼성생명은 4.96%로 빠졌다. 이밖에 삼성SDI(-4.21%), 삼성엔지니어링(-3.65%) 등 삼성그룹주가 일제히 하락했다.
jihye@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