닻 올린 세월호 특검, 증거 조작 의혹 속 진실 건져낼까 

닻 올린 세월호 특검, 증거 조작 의혹 속 진실 건져낼까 

기사승인 2021-05-13 14:45:36
13일 오전 서울 강남구 S빌딩에 마련된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특검 사무실에서 열린 현판식에서 이현주 특별검사가 현판을 제막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쿠키뉴스] 이소연 기자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특검)가 공식적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세월호 특검은 13일 오전 10시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마련된 특검 사무실에서 현판식을 열었다. 특검은 향후 60일간 활동할 예정이다. 대통령 승인이 있다면 30일을 더 연장할 수 있다. 

수장으로는 이현주(62·사법연수원 22기) 특검이 임명됐다. 이 특검은 이날 “세월호 참사 뒤 7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그 기억은 현재진행형”이라며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증거를 따라가다 보면 진실에 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수사할 계획”이라며 “필요하면 수사기간을 연장하겠다”고 밝혔다. 

 13일 오전 서울 강남구 S빌딩에 마련된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특검 사무실에서 열린 현판식에서 이현주 특별검사(오른쪽 두번째)를 비롯한 참석자들이 현판을 제막하고 있다. 연합뉴스
특검은 세월호 참사 관련 증거 조작·은폐 의혹에 대해 수사한다. 세월호 CCTV 데이터 조작 여부와 선내 블랙박스인 디지털영상저장장치(DVR) 수거 과정 의혹 등이다. 누군가 책임을 피하고자 참사 직전 세월호 내부 정황이 담긴 데이터에 손을 댔다는 주장의 진위를 가리는 것이다.  

지난해 9월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사참위)는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원에 제출된 세월호 CCTV 복원 데이터에서 조작 흔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복원 과정에서 누군가 파일 일부에 엉뚱한 데이터를 덮어씌웠다는 설명이다. 사참위는 조사 결과 데이터 1만8353곳이 조작됐다고 주장했다. 세월호가 급격히 기울기 3분 전인 오전 8시46분까지의 영상만 존재한다는 점도 조작의 근거로 언급된다. 

DVR 장치를 바꿔치기했다는 의혹도 있다. 해군과 해경이 DVR을 미리 확보한 후, 영상을 조작해 다시 넣은 다음 연출을 통해 수거했다는 주장이다. 해군이 수거한 DVR과 검찰이 확보한 DVR이 다르다는 의혹도 나왔다. 사참위는 ▲DVR이 원래 설치 장소가 아닌 선체 안내데스크 천장 부근에서 발견된 점 ▲케이블 커넥터 나사를 풀어 DVR을 수거했다고 했으나 커넥터가 현장에서 발견되지 않은 점 ▲DVR의 잠금 상태가 달랐던 점 등을 근거로 내놨다. 

세월호 특별수사단이 지난 1월19일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연합뉴스
두 의혹에 대한 수사는 처음이 아니다. 대검찰청은 지난 2015년 CCTV 데이터 조작 의혹에 대해 사실무근 결론을 내렸다. 지난 1월 활동을 마무리한 검찰 세월호 특별수사단(특수단)은 DVR 바꿔치기 의혹에 대해 관계자를 조사하고 디지털포렌식 등 수사를 진행했다. 다만 세월호 특검이 도입됨에 따라 결론을 내지 않고 사건을 인계했다.

2014년부터 현재까지 검찰 수사와 국회 국정조사, 감사원 조사, 해양안전심판원 조사,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 사참위, 세월호 특수단 등 총 8차례 수사·조사가 이뤄졌다. 특검은 세월호 관련 정부 차원의 9번째 진상규명이다. 

세월호 7주기인 16일 전북 전주 풍남문광장에서 시민들이 정부의 진상 규명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다만 유가족은 온전한 진상규명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박근혜 정부 시기, 세월호 수사·조사 과정에서 외압이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검찰 수사, 감사원·특조위 조사에서 책임자 처벌이 이뤄지지 않거나 정부에서 원활한 조사 권한을 주지 않았다는 것이다. 

‘예은아빠’ 유경근 세월호 416 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은 지난 3일 SNS를 통해 “진상규명은 유가족과 피해자의 개인적인 한풀이가 아니다. 세월호 참사 이후 다른 사회를 만들기 위한 것”이라며 “여전히 아무것도 밝혀지지 않았다. 지난 7년 동안 청와대·국정원·해군을 조사해본 적 없다. 성역 없는 진상규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