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었지만 이제라도” 동학농민혁명 서훈에 팔 걷은 역사학자들  

“늦었지만 이제라도” 동학농민혁명 서훈에 팔 걷은 역사학자들  

기사승인 2021-08-05 18:05:17
지난 2018년 서울 종로에서 전봉준 동상 제막식이 진행됐다. 
[쿠키뉴스] 이소연 기자 =역사학자들이 전봉준·최시형 등 2차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의 독립유공자 서훈을 촉구했다. 

고석규 전 목포대 총장과 신영우 충북대 명예교수, 김봉곤·신순철 원광대 교수, 김양식 청주대 교수, 성주현 청암대 교수, 이상식 전남대 교수, 홍성덕 전주대 교수 등 8명은 5일 성명을 통해 2차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에 대한 독립유공자 서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동학농민혁명을 전공한 이들은 “늦었다. 그러나 이제라도 동학 순국선열을 독립유공자로 서훈하길 바란다”며 “2차 동학농민혁명 참여자가 일제의 국권침탈에 맞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하였음은 한국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에 의해 이미 입증됐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2차 동학농민혁명은 한국 근대사에서 규모적으로 가장 큰 반일 무력항쟁”이라면서 “지난 1894년 6월 일본군의 경복궁 침범을 주목해야 한다. 일본의 침략을 막아내기 위해 동학농민군이 전국에서 봉기했으므로 독립유공자 서훈에 정당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비슷한 시기인 1895년 을미의병 등 의병전쟁 참여자들은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았다.
 
서훈이 지지부진한 것에 대한 반성도 나왔다. 역사학자들은 “동학농민명예회복법과 독립유공자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서훈이 이뤄지지 않은 것은 우리 전공 역사학자들의 불찰과 게으름도 없지 않았다”면서 “관련 제도와 법령, 연구 성과에 의거해 2차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의 독립유공자 서훈을 촉구한다”고 이야기했다. 이어 “2차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의 서훈 심사가 역사적 진실에 부합하는 결과로 매듭지어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현재까지 전봉준과 최시형 등을 독립유공자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지난해 3월 국가보훈처 공훈발굴과는 전봉준·최시형에 대한 독립유공 공적심사 요구에 “활동 내용이 독립운동 성격 불분명하다”고 반려했다.
 
박용규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위원이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자료에 의거,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차 혁명에 참여했다가 일본군에 의해 총살·사살·화형 등을 당한 순국자는 총 111명이다. 싸우다 전사하거나 자결한 이들까지 합치면 119명으로 전해졌다. 이 중 단 한 명도 서훈을 받지 못했다.
  
정부는 지난 2019년부터 매년 5월11일을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로 지정, 기념식을 열고 있다.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