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9일 (금)
연령 높은 직장인일수록 ‘세대차이’ 더 느낀다

연령 높은 직장인일수록 ‘세대차이’ 더 느낀다

직장인 10명 중 7명 ‘세대차이’ 실감…차이 극복 위해 ‘다름’ 인정해야

기사승인 2021-10-18 12:43:26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사회 및 문화, 생활 양식이 빠르게 변하면서 서로 다른 시간과 생활 환경에서 자라난 사람들 간의 차이는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때로 세대 차이는 갈등과 대립을 야기 시켜 직장 내 업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기업 내 조직문화 쇄신에 사회적 관심이 쏠리기도 한다. 

직장인 10명 중 7명 가량은 직장 내 세대차이를 느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MZ세대 10명 중 7명은 업무에 관계없는 복장규정이나 아근 문화에 대해서도 공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은 직장인 1354명을 대상으로 ‘직장 내 세대갈등’에 대해 조사한 결과, 직장인의 77.2%는 ‘세대차이를 실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연령이 많을수록 직장 내에서 세대차이를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확인됐다. 세대별 세대차이를 느끼는 정도로 ‘베이비붐세대’(96.1%), ‘86세대(80.5%), ‘X세대’(78.7%), ‘MZ세대’(76.1%) 순이었다.

세대차이를 실감하는 이유로는 ‘기본적인 사고방식이 너무 달라서’(68.5%, 복수응답)라는 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워라밸 중시, 야근 최소화 등 일과 삶 분리 정도가 달라서’(40.7%), ‘일상적인 대화 주제가 달라서’(38.4%), ‘커뮤니케이션 방식에서 차이가 나서’(34.8%), ‘회의, 피드백 등 업무 방식에 차이가 나서’(31%), ‘복장 등 직장생활 방식에 차이가 나서’(16.9%), ‘친목도모 모임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서’(16.7%) 등의 이유가 꼽혔다.

직장인들의 세대차이에 대한 양 회식과 야근 등에서도 확인됐다. ‘베이비붐 세대’(61.5%)와 ‘86세대’(40.3%)는 회식이 ‘팀 빌딩을 위한 즐거운 행사’라는 답변이 많았다. 반면 ‘X세대’는 ‘회사생활을 위해 어쩔 수 없이 필요한 것’(38.4%)으로 인식했고, MZ세대는 ‘불필요한 시간낭비라고 생각’(37.7%)한다는 답변이 많았다.

특히 업무에 관계없는 복장규정이나 암묵적인 야근 문화에 대해서도 MZ세대는 ‘전혀 공감할 수 없다’(75.5%)는 답변이 우세했던 반면, 86세대(57.1%)와 베이비붐세대(73.1%)는 ‘조직생활이므로 무조건 맞춰야 한다’고 생각했다.

업무상 부정적인 영향이 있다는 이들은 전체 응답자의 64.2%로 절반 이상이었다. 미치는 영향으로는 ‘업무 동기 부여 하락’(49.3%, 복수응답)이 제일 컸다. 이어 ‘이직/퇴사’(44.4%), ‘커뮤니케이션 단절로 성과 감소’(39.1%), ‘업무 집중력 떨어짐’(38.6%), ‘조직충성도 하락’(35.1%) 등의 업무 영향이 있었다.

세대를 막론하고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이들이 더 많았고(67%), 회사에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름을 인정해야 한다’(70.2%, 복수응답)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었다. 또 ‘되도록 상대방 입장으로 생각해 맞춰주려고 한다’(51.7%), ‘상대방의 관심사를 찾아본다’(29.8%), ‘소통의 자리를 자주 만든다’(22.9%) 등의 노력을 한다고 답했다.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뽀빠이 아저씨’ 이상용, 9일 별세…향년 81세

‘뽀빠이 아저씨’라는 애칭으로 유명한 방송인 이상용이 9일 오후 2시30분께 별세했다. 향년 81세. 소속사 이메이드 관계자에 따르면 이상용은 이날 서울 서초구 자택 인근 병원에 다녀오던 중에 쓰러졌다. 이후 서울성모병원으로 이송됐지만 끝내 세상을 떠났다. 관계자는 “전날에 같이 행사를 다녀왔다. 감기 기운이 있다고 들었는데, 이렇게 갑자기 떠날 줄은 몰랐다”고 비통한 심정을 밝혔다. 빈소는 서울성모병원에 마련될 예정이다.19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