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의 가계대출 금리가 치솟는 가운데 오는 25일 기준금리 인상 여부가 결정된다. 이번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어 가계 이자 부담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은행은 오는 25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시장에서는 이번 금통위에서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금통위는 지난달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75%로 동결했지만 두 명의 금통위원은 0.25%p 인상이 바람직하다는 소수의견을 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회의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경기 흐름이 예상대로 흘러간다면 다음 회의(11월)에서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지난달 15일 국정감사에서도 “11월에 기준금리를 인상해도 큰 어려움이 없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말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 무게를 더했다.
변수는 남아있다. 이 총재가 언급한 경기 흐름이다. 올해 3분기 0.3%까지 떨어진 경제성장률(전기대비) 등 경기 하강 위험이 기준금리 인상의 걸림돌로 남는다. 분기별 경제성장률을 보면 코로나19 확산 이후 지난해 1분기(-1.3%)와 2분기(-3.2%)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후 3분기(2.2%), 4분기(1.1%), 올해 1분기(1.7%) 회복세를 보였지만 2분기(0.8%), 3분기(0.3%) 다시 상황이 악화됐다.
경기 하강 변수에도 기준금리가 인상될 경우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금리는 다시 한 번 큰 폭의 인상을 맞이할 예정이다. 18일 기준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의 신규 코픽스 연동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연 3.548∼4.848%를 기록했다. 지난 1일 연 3.31∼4.814% 수준에서 하단이 0.238%p 올랐다. 지난 8월말(연 2.62∼4.19%)과 비교하면 하단은 0.928%p, 상단은 0.658%p 오른 상태다.
한은은 대출금리가 1%p 오르면 가계대출의 이자 부담이 11조8000억원 늘어나고 이중 56%(6조6000억원)는 저소득·중산층이 져야 한다고 보고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최근 시중은행이 금융당국이 제공한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명분으로 대출금리를 과속 인상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금융당국은 이에 대해 “최근(특히 10월)의 금리상승은 글로벌 신용팽창이 마무리 되고 본격적인 금리 상승기로 접어들면서 발생하는 현상”이라며 “앞으로 국내외 정책·시장상황 전개에 따라 (금리인상은) 당분간 지속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