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조선업계가 친환경 선박을 앞세워 올해 수주목표액 초과 달성에 성공했다. 하지만 내년 말 수주된 물량을 건조해낼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 처했다. 정부는 K-조선 재건을 목표로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인력 확충 방안을 내놨지만, 인력난은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조선업계는 전망하고있다.
15일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설명에 의하면 올해 10월 기준 국내 조선업 종사자는 9만2839명이다. 지난 2017년 10만9901명에서 4년 만에 종사자 수가 15%가량 줄었다. 올해 초 수주된 선박 건조가 본격화되는 내년 3분기 말에는 8924명이 필요하다.
국내 조선사들은 올해 친환경 선박 위주로 수주하면서 향후 2년간 건조할 도크 자리를 다 채웠다. 조선사마다 미세한 차이는 있지만, 약 1년간의 선박 설계 등을 마치면 수주된 선박을 본격 건조한다.
반면, 선박 건조에 투입될 인력 수급은 저조하다. 정부가 올해 9월 K-조선 재도약 선언하면서 내년까지 조선 인력 8000명을 양성하겠다는 지원책을 내놨지만, 조선업 현장에서 투입될 인력 확보가 쉽지 않다.
조선업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조선사 원청 인력들이 먼저 선박 건조에 투입되고, 일손이 필요한 경우 협력사 인력이 돕는 방식이다”며 “조선업 침체기에 협력사 소속 인력들이 많이 이탈해 현재는 조선업 전반에 걸쳐 일손이 부족한 상태”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단순 업무라도 위험한 현장에 출입하는 조선업 특성상 일정한 숙련기간이 필요하다”며 “당장 인력 충원을 해준다고 해도 현장에서 체감할 때까지는 최소 반 년 이상 걸린다”고 말했다.
조선업이 다시 호황기로 접어들고는 있지만, 조선업을 이탈한 인력들은 대부분 돌아오지 않고 있다. 현재는 수주 물량이 넘쳐나면서 호황기 초입이지만 언제 다시 침체기를 맞을지 모른다는 우려에 조선업 복귀 자체를 꺼리기 때문이다.
다른 조선업 관계자는 “직종 구분 없는 최저 시급제와 주52시간 적용에 따라서 조선업 종사자의 임금 인상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구조”라며 “대부분 협력사 인력들은 연봉제가 아닌 시급제로 임금을 받는다. 법적 규제에 따라 일을 더 하고 싶어도 할 수 없고, 임금 자체가 줄면서 조선업 취업을 기피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선업 인기가 하락해 인력난이 계속된다는 해석도 있다. 한국조선의 위상이 높던 2000년대 초반까지는 높은 초임과 세계 1위라는 타이틀로 많은 취업자의 인기를 끌었지만, 현재는 일명 3D업종(힘들고, 더럽고, 위험한)으로 여겨지면서 외면을 받고 있다.
한편, 조선사들은 향후 부족해질 인력난에 대비해 꾸준히 인력 충원에 나서고 있다. 국내 최대 조선사인 현대중공업은 지난 10일 고용노동부, 울산시와 함께 일자리 상생협약을 열고, 2015년 이후 7년 만에 생산직 정규직을 채용한다고 밝혔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친환경 선박 수주가 꾸준히 늘면서 올해 수주목표액을 이미 다 채운 상태”라며, “당장 인력이 필요한 상황은 아니지만, 미래를 대비해 기술인력 채용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황인성 기자 his1104@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