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4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 기준 금리 인상 가능성이 비중 있게 전망되고 있다. 기준금리가 인상될 경우 소위 ‘영끌족’ 및 자영업자의 대출 이자 부담이 늘어날 전망이다. 자산시장 영향도 불가피해 보인다.
금융권에서는 한국은행(한은)이 오는 14일 열리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1.00%에서 1.25%로 0.25%p 인상할 가능성을 높게 내다보고 있다. 앞서 한은은 지난해 8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0.5%에서 1%로 0.5%p 인상했다. 한은은 올해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완화된 통화 정책 정상화 계획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해 11월 “국내 경기, 물가, 금융 상황을 종합적으로 감안할 때 기준금리의 정상화가 필요하고 그 기조는 바뀐 게 없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신년사에서는 “금융완화조치의 정상화 과정에서 과도한 레버리지와 업황 부진에 직면해 있는 일부 가계 및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신용위험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변함없는 정상화 방침을 내비쳤다.
한은이 기준금리 정상화에 나서는 것은 물가 상승압력이 점차 커지고 있는 영향이다. 지난해 1~11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1년 전 동기 대비 2.3%로 물가안정목표인 2%를 넘어섰다. 연간 물가상승률이 2%를 넘는 것은 2012년 2.2% 이후 처음이다. 이러한 물가 상승세는 높은 에너지 가격 장기화, 세계적 공급 병목현상의 회복 지연, 저탄소·친환경 경제로의 전환 움직임 등을 이유로 올해도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속도를 내고 있는 미국의 긴축통화 정책도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을 압박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공개한 2021년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따르면 위원들 사이에서 신속한 금리 인상과 보유 자산(8조8천억달러)을 축소하는 긴축 시작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특히 일부 위원들은 3월께 금리 인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 격차 확대는 국내 외국자본의 이탈 요소로 작용한다. 아울러 통화완환 정책으로 뛰어오른 부동산 가격 등 자산가격도 완화를 부추기고 있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한국은행이 경기 회복세, 물가 상승압력, 주택시장과 연계된 금융불균형 등을 고려해 14일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0.25%p 추가 인상 할 것”이라면서, 오미크론 변수에 대해서는 “오미크론 변이의 파급력에 대해 예단하기는 어려우나 델타 변이에 비해 입원 환자 비율과 치명률이 낮고 코로나에 대한 경제 주체들의 적응·대응력도 높아져 실물·금융충격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1월 기준금리 인상을 포함해 올해 최소 세 번의 인상이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LG경영연구원은 올해 1월 한 차례 기준금리가 단행된 이후 대선과 총선을 지나, 하반기 두 차례 인상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은 한계까지 대출을 받아 주택을 구매한 이들의 이자상환 부담을 늘릴 예정이다. 현재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6%대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신용대출 금리는 이미 6%대에 진입했다. 홍남기 경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4일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부채 상환 부담 증가, 자산가격 변동 등에 유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