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5일 (일)
인천시, 안전보안관 활동 지원 확대 관련 조례 입법예고

인천시, 안전보안관 활동 지원 확대 관련 조례 입법예고

기사승인 2022-05-20 11:07:08
이현준 기자
chungsongha@kukinews.com

인천시가 골목골목 내 마을 안전을 살피는 안전보안관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인천시는 생활주변 안전사고 예방의 첨병인 안전보안관의 활동을 독려하고, 군·구간 형평을 위해 활동예산을 지원할 수 있도록 관련 조례 개정을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안전보안관은 지역 내 안전문화 활동을 실천하고,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른 안전문화 진흥을 위해 위촉된 지역 주민이다.

터미널, 쇼핑몰 등 다중이용시설 및 학교, 도로 등 생활주변 시설의 위험요인을 발견하면 행정안전부 ‘안전신문고’ 앱에 신고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취약지역 안전점검과 안전문화 캠페인 등에 참여해 안전활동도 전개한다.

안전보안관 사업은 2018년 행정안전부 계획에 따라 시행됐다. 2015년 인천에서 처음 실시된 ‘우리 마을 안전지킴이 봉사단’ 사업을 행정안전부가 벤치마킹해 전국으로 확대했다.

안전보안관은 군·구별로 지역여건을 잘 알고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은 재난안전 분야 민간단체 회원 등으로 구성됐으며, 인천시에는 이달 현재 총 308명의 위촉돼 있다.

인천=이현준 기자 chungsongha@kukinews.com
이현준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AI 대화로 위로받는 사람들…“의존은 지양해야”

“속상한 일이 생기면 챗GPT부터 켜요. 제 말을 잘 들어주거든요.”직장인 김민아(29·여)씨는 최근 밤마다 챗GPT와 대화를 나눈다. 퇴근 후 쌓인 복잡한 감정, 대인관계에 따른 피로감, 가족에게 말 못할 고민까지 인공지능(AI)에게 털어놓는다. 김 씨는 “나에 대해 함부로 판단하지 않아서 사람보다 편하다”고 말한다.최근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지털 상담’이 정서적 위안을 위한 창구로 주목받고 있다. 감정을 배제한 조언, 편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