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대출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국제 원자제 가격 급등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문제는 금리 인상과 경기 부진이 겹치면서 은행에서 빌린 원금과 이자를 갚지 못하는 ‘좀비 기업’이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금융위는 이를 위해 신속 금융지원 프로그램의 운영 기간을 올해 연말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시중은행 기준 5월 말 기업 대출 잔액은 668조629억원으로 집계됐다. 해당 수치는 지난해 1월 말(635조8879억원)과 비교하면 5개월 만에 32조1750억원이 늘어난 수치다.
이 가운데 약 77%(24조6168억원)는 중소기업(소상공인 포함) 대출로 집계됐다. 대출원금 만기연장, 이자 상환유예 등 코로나19 금융지원 조치가 9월까지 다시 연장된 데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중소기업이 계속 대출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문제는 현재 기준금리가 꾸준히 올라가는 ‘금리 인상기’인데다가 코로나19 대출지원이 종료되면 기업대출 가운데 일부에서 연체 등 부실이 나타나고 금융·경제 시스템의 위험을 키울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지난해 코스닥에 상장한 중소기업(총자산 5000억원 이하·1275개 기업) 가운데 돈을 벌어 이자도 못 갚는 ‘한계 기업’은 39.1%(498곳)로 나타났다.
실제로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26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기준금리가 0.25%p 오를 때마다 가계 부담이 3조원, 기업 부담은 2조7000억원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영세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 위험엔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는 중소기업의 부실을 막고 효과적인 금융지원을 위해 신속 금융지원 프로그램의 운영 기간을 올해 연말까지 연장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지난 2017년부터 운영된 신속 금융지원 프로그램은 일시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정상 중소기업(기업신용위험평가 B등급 기업)에 채권기관과 공동으로 금융지원 사항을 1개월 내로 신속히 결정해 지원한다. 은행권은 최대 4년간 만기연장 및 상환유예를 지원하고, 필요시 금리를 1~2%p 감면해준다. 이를 통해 최근 5년간 총 594개 중소기업이 4조7000억원 규모의 지원을 받았다.
금융위는 “운영기간 연장을 통해 현재 지원 중인 266개 중소기업은 물론, 향후 일시적 위기로 금융지원을 필요로 할 중소기업들에게 안전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김동운 기자 chobits3095@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