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제품 잇따른 ‘유해물질’ 발견…불안한 엄마들

영유아 제품 잇따른 ‘유해물질’ 발견…불안한 엄마들

물티슈, 완구류, 의류, 바닥매트 등 제품 종류도 다양

기사승인 2022-07-27 16:27:37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픽사베이

가장 안전해야할 영유아 제품에서 잇따라 ‘유해물질’이 발견됐다. ‘유아용’ 제품에 대해 아이를 둔 소비자들의 의심이 커져가고 있다.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LG생활건강(이하 엘지생건) 유아용 물티슈 ‘베비언스 온리7 에센셜55(핑크퐁 캡 70매 물티슈)’에서 살균 보존제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CMIT)과 메칠이소치아졸리논(MIT) 혼합물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두 성분은 과거 약 90명의 사상자를 냈던 ‘가습기 살균제’ 원료로 쓰였던 성분으로 밝혀져 소바자들에게 충격을 안겼다. 해당 제품은 지난해 11월 주문자 상표에 의한 제품 생산(OEM) 방식으로 한울생약을 통해 생산됐고, 대형마트와 이커머스 업체를 통해 약 8개월간 판매됐다.

올해 영유아 제품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은 이번 사례가 처음이 아니다. 

지난 4월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어린이용 의류·완구·바닥매트 등 실내 및 개인 여가용품 512개에 대해 실시한 안전성 조사 결과, 리콜 명령이 내려진 제품 17개 중 12개가 어린이 제품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 중에서도 유해물질을 함유한 제품은 구체적으로는 △제품 표면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인 폼아마이드 또는 카드뮴이 기준치를 초과한 바닥매트 3개 △손잡이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를 초과한 역할놀이 완구 1개  △안감 코팅이나 금속 조임쇠, 옷감 등에서 납·폼알데하이드·노니페놀 등 유해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한 아동용 섬유제품 5개가 포함돼 있었다.

또한 5월 환경부는 ‘국내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기준초과 제품’ 7종을 공개했다. 이들은 대부분 미술놀이 용품이었다. 

일례로 한 포스터 칼라 제품에서는 ‘아닐린(aniline)’이라는 유해물질이 각각 기준보다 1.6배, 2.2배를 초과해 검출됐다. 이 물질은 피부 접촉 시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며, 유전적 결함을 일으키거나 뇌손상, 암 유발 가능성이 있는 물질이다.

이 외에도 다른 제품에서는 발암성 우려로 그 사용이 크게 중단된 발암물질인  3,3'-다이클로로벤지딘이 5.2배 초과 검출되거나, 기도로 유입되면 치명적인 위험을 일으키는 4-메틸-1이 7.5배 높게 검출되기도 했다. 현재 제품들은 모두 회수권고 조치됐다는 것이 환경부 입장이다.

뿐만 아니라 수입된 제품들도 경고등이 켜졌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올해 중국에서 들어온 아동슬리퍼 2종류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와 납 등 유해물질이 안전기준의 최대 373배를 초과한 것이다.

유아용 제품에서 미생물한도 기준을 초과해 회수한 사례도 빈번했다.

유한킴벌리의 하기스네이처메이드물티슈(제조번호 B21040303)는 올해 3월 식약처로부터 미생물 한도 기준 초과로 회수·폐기 조치 받았다. 유한킴벌리는 앞서 10월 15일, 25일에도 자사가 제조·판매한 물티슈에서 일부 미생물 기준 초과로 인해 회수 및 폐기 처분받은 바 있다. 당시에도 영유아용 제품인 크리넥스마이비데키즈화장실용 물티슈 제품에서 문제가 발견됐다.

뿔난 엄마들, “뭘 믿고 쓰나”…정부 “기준 강화할 것”

엘지생건 ‘베비언스 온리7 에센셜55(핑크퐁 캡 70매 물티슈)’ 제품 관련 누리꾼 글 갈무리.   캡처

올해 들어 유아용품 관련 유해물질 검출건이 여러 차례 발각되자 맘카페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엘지생건 물티슈 유해물질 사례와 관련 한 맘카페 누리꾼은 “같은 제조사에서 만든 유아용 물티슈를 사용해도 될지 모르겠다. 일부 제품만 그렇다는데, 찝찝한 건 사실”이라며 “댓글을 통해 좋은 제품을 추천받고 다른 제품으로 갈아타는 게 낫다”라고 댓글을 남겼다.

한 커뮤니티에서는 “어린 아이가 사용하는 제품에서 매년 유해물질이 나오는 이유를 모르겠다. 더 신경 써서 만들고 더 많이 검토해야하는 제품 아니냐”며 “유명한 제품, 대기업에서 만든 것도 그런데 다른 제품들은 어떻게 믿고 써야 할지 모르겠다”고 비난했다.

이에 정부에서도 올해 적극적으로 어린이용품 관련 안전성 강화 조치에 나섰다. 

올해 7월부터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15개 어린이용품 관련 중소기업과 협력해 환경유해인자 저감을 위한 ‘어린이용품 자가관리 사업’을 추진했다.

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은 어린이용품에 쓰인 화학물질 정보 등을 제공하고, 환경부는 위해성평가, 제작공정 진단, 친환경 디자인 방안 등을 지원한다. 

또한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환경보건법’ 상 규제 대상인 환경유해인자 4종을 비롯해 어린이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해성평가 대상 화학물질인 프탈레이트류, 아닐린 등이 어린이용품에 얼마나 포함돼 있는지를 이달 중순부터 본격적으로 평가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불법·불량 어린이제품 퇴출을 통한 어린이 안전사고 저감’을 목표로 ‘제3차 어린이제품 안전관리 기본계획(2022~2024)’을 수립했다. 

정부는 시험·인증 비용 지원 대상을 대폭 확대(90→500개사), 기업이 제품을 출시하기 전에 스스로 위해도를 확인해 보완할 수 있도록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개발 및 보급하고 안전의무 위반 기업에 대한 벌칙, 과태료 부과 등 제재를 강화한다.

이 외에도 논란이 되는 제품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정보수집 시스템(국민권익위원회 민원 빅데이터, 맘카페 등을 통해 안전 쟁점 제품 선제적 파악)’을 구축하며 안전성 조사, 연구, 교육·홍보 등 어린이제품과 관련한 종합적인 안전관리를 담당하는 ‘어린이제품안전센터’를 설립한다.

박선혜 기자 betough@kukinews.com
박선혜 기자
betough@kukinews.com
박선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