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감염 터지니 늑장 대응…“이게 무슨 과학방역”

집단감염 터지니 늑장 대응…“이게 무슨 과학방역”

요양병원서 한 달 새 집단감염 116건
방역당국 “감염취약시설 집중 관리 ‘표적방역’ 추진”
전문가 “코로나 초기에도 지적… 면피용 대책” 

기사승인 2022-08-11 06:00:06
서울 동작구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한 시민이 검사를 받고 있다.   사진=임형택 기자

최근 요양병원‧시설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집단감염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방역당국은 감염취약시설 관리체계를 재정비하고 나섰다. 전문가는 일이 터지고 나서야 수습하는 사후약방문식 대응이라며 고개를 저었다. 

1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최근 4주간 요양병원·시설에서만 총 116건, 2445명의 집단감염 사례가 발생했다. 

정부는 2020~2021년 코로나19 집단감염이 있었던 요양·정신병원의 대응사례와 개선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응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 분석에 따르면 집단 감염 사례 공통점은 △평상시 감염 관리자의 부재 △병상 간 거리 미확보 △확진자·비확진자 간 동선 분리가 미흡한 점 등이 있었다.

방역당국은 ‘표적방역’을 통해 감염취약시설의 집단감염을 막겠다는 계획이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총괄조정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중대본 회의를 열고 “60세 이상 어르신은 인구 중 25.8%다. 그러나 사망자의 92.5%, 위중증 환자의 84.9%를 차지하고 있다”며 “정부는 어르신들이 생활하고 있는 요양병원·시설 등 감염취약시설을 집중 관리하는 표적방역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중대본은 △요양병원·시설의 점검 △지자체를 통한 취약 시설 집중 점검 △간병인·감염관리자 대상 교육 등을 실시해 집단감염에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우수 대응사례를 참고해 감염취약시설 집단감염 대응 방침을 세우기로 했다. 집단감염 대응 우수사례로 꼽힌 병원은 △평상시 감염관리자 지정 △병상 간 충분한 거리 확보 △확진자 발생 시 다인병실 내 물리적 격벽 설치 △확진·비확진자 동선 구분 분리로 추가 확진자를 최소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문가는 이 같은 대책이 너무 늦었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김우주 고려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쿠키뉴스와의 통화에서 “코로나19 초기에도 요양병원 병상 간 거리 확보, 동선 분리 등은 지적돼 왔던 사항”이라며 “면피용 대책에 불과하다”고 질타했다.

이어 “지금까지 방역당국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집단감염이 터진 것”이라며 “매번 일이 터지고 나서야 조치를 취하는 것이 무슨 과학방역인가”라고 꼬집었다.

병상 간 거리 확보도 현실성 있는 대책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요양병원에 대한 별도 지원 없이 병상 간 거리 확보를 보장하기 힘들다”고 고개를 저었다.

방역당국은 지속적으로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관리를 해왔다며 해명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정례브리핑에서 “감염취약시설에 대해서는 2년 넘게 코로나19 대응을 해 오면서 지속적으로 방역조치를 강화해서 관리를 강화하고 있는 중”이라며 “종사자들에 대한 주기적인 선제검사, 면회에 관한 각종 관리, 방역관리자 지정과 내부 훈련, 모의훈련 등 조치를 실시해왔다”고 설명했다.

김은빈 기자 eunbeen1123@kukinews.com
김은빈 기자
eunbeen1123@kukinews.com
김은빈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