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로 카카오뱅크의 일부 금융서비스가 중단되자 여타 은행의 서비스도 멈춰설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다른 은행에서도 전자금융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금융당국은 카카오 사태가 불러올 파장을 고려해 나머지 은행들의 비상대응계획 점검에 나섰다.
19일 국회 정무위원회 양정숙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2년 7월까지 우리나라 시중은행, 특수은행, 인터넷은행 등 총 13개 은행에서 발생한 전자금융사고는 총 421회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중 28회는 장애 지속시간이 만 하루를 넘긴 것으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국민, 우리, 신한, 하나, SC, 씨티 등 6개 시중은행에서 발생한 사고 건수는 총 247회였다. 전체 사고의 58.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은행별 평균 41회 발생했다. 인터넷뱅크 105회, 특수은행 69회에 비해 크게 높았다.
시중은행 중에서는 우리은행 사고가 72회로 가장 많았고, 이어 신한은행 44회, SC제일은행 43회, 하나은행 34회, 국민은행 31회, 씨티은행 23개 순으로 뒤를 이었다. 우리은행은 이와 관련해 “우리은행의 전산사고 72건중 약 60%가 2018년 차세대 시스템 도입 당시 발생했으며, 은행 시스템 전체를 바꾸는 과정에서 발생한 특수성을 감안하면 타행과 비슷한 수준이다. 현재 우리은행 전산시스템은 안정적으로 운영 관리되고 있다”고 해명했다.
인터넷은행인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뱅크에서는 총 105건이 발생해 은행별 평균 35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은행별로는 카카오뱅크가 52회로 가장 많았고, 이어 케이뱅크 37건, 토스뱅크 16회였지만, 토스의 경우 2021년부터 2022년 7월까지 채 2년도 안된 수치여서 많은 편에 속한다.
특수은행으로 분류된 산업은행,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 수협은행에서는 사고가 총 69회 발생했으며, 은행 평균 17회였다. 특수은행 전체적으로는 사고건수가 적은 편이었지만, 산업은행 사고가 32회로 전체의 46.3%를 차지해 가장 빈번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복구 소요시간 최장 33일 걸리기도
전체 사고 421회 중 복구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이 24시간 이내인 경우가 393회로 93.3%에 해당됐으며, 24시간 초과된 사고는 28회 6.7%로 비교적 적은 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4시간 이상 소요된 사고 28건 중 20회가 시중은행에서 발생해 대부분을 차지한 가운데, 개별 은행으로는 우리은행이 12회로 전체의 60%를 차지했다. 나머지 8회는 특수은행은 5회, 인터넷은행 3회로 나타났다.
24시간 이상 소요된 28건 중 10일 이상 지속 된 사고도 6건이나 되었다. 우리은행이 2건, 국민은행, 하나은행, 수협은행, 카카오은행이 각각 1건 발생한 것이다.
특히, 우리은행은 2018년 정보유출 사고로 인해 ‘인터넷뱅킹 대량 부정접속 발생’ 사고는 복구에만 33일 걸려 최장 시간을 기록했다. 하나은행도 2017년 프로그램 오류로 인해 ‘금리 감면 누락 발생’ 사고가 생기면서 복구시간에 27일이나 소요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발생한 사고는 총 4건으로 지난 6월 수협은행 발생한 사고의 경우 프로그램 오류로 ‘지급이자 과소 계산’ 사고가 발생했으며, 복구에 12일이나 소요되었다. 또한, 2020년에 카카오뱅크에서 외부요인으로 발생한 ‘후불 교통카드 기능 불가’ 사고도 16일이나 걸려 장기간 복구 사고로 기록되었다.
양정숙 의원은 “은행이 멈추면 우리나라 경제시스템이 셧다운 된다”며 금융시스템의 안전문제를 강조하면서 “은행의 전자금융사고가 이렇게 빈번하게 발생하면 국민들이 불안해 할 수밖에 없다”고 문제를 지적했다.
이어 양 의원은 “은행 사고가 매년 계속 이어지고 있고 원상복구에 최장 한달넘게 소요되는 동안 국민 불편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라며 “국민이 입었을 피해에 대한 보상과 확실한 재발방지 대책이 제대로 수립되도록 금융감독 당국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카카오에 놀란 금융당국, 전방위 대응
금융감독원은 카카오 사태 이후 카카오 금융 계열사들을 대상으로 비상 대응이 적절했는지 전방위 점검에 나섰다. 또한 나머지 은행들의 비상대응계획 점검도 실시하겠다는 계획이다.
금감원은 지난 16일 “카카오 전산센터 화재로 인해 일부 금융서비스도 작동하지 않는 등 국민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데 대해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긴급 대응했다”며 “금융계열사는 화재 이후 곧바로 재해복구센터를 가동하여 금융거래의 전산처리에 문제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일부 송금 및 결제 등 금융서비스가 상당시간 장애가 발생한 원인 규명 및 비상대응계획 가동실태 등을 면밀히 살펴볼 예정”이라며 “금융소비자 피해에 대해서도 신속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하겠다”고 밝혔다.
실제 화재 직후 카카오톡을 통한 간편이체(1일 100만원 한도)가 일부 작동하지 않거나 카카오페이 송금 및 결제 서비스가 일시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다행히 카카오뱅크의 경우 전산센터가 상암에 별도로 위치해 있고, 카카오페이는 재해복구센터(가산디지털단지) 전산망이 가동하면서 아직까지 대형 금융사고가 보고되지는 않았다.
금감원은 카카오의 비상대응 조치를 점검하는 동시에 전체 금융회사에 대해서도 전산센터 화재에 대비한 비상대응계획을 점검하겠다는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외부 인증 기반 서비스 등 자체 시스템이 아닌 외부 시스템과 연계된 서비스의 비상운영계획을 세밀하게 수립토록 지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금융위원회도 최근 카카오 장애 사태와 관련해 금융당국이 살펴볼 현안이 있는지 점검에 들어갔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최근 카카오 장애 사태와 관련해 금융당국이 살펴볼 현안이 있는지 점검할 것을 주문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