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국비 지원으로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나섰다가 포기한 GC녹십자 등에 대한 적절성 점검에 나선다.
본지가 앞서 지난 3일 ‘국내 제약사들의 코로나19 치료제·백신의 먹튀 논란과 정경유착 의혹’에 대해 보도한 이후 백종헌 국민의힘 의원은 6일 국회서 열린 보건복지부와 질병청 국정감사에서 관련 내용을 질의했고 이에 대한 후속 조치인 셈이다.
보건복지부는 연구 개발 과제 선정부터 최종 평가까지 사업 전반을 들여다볼 예정이다. 특히 혈장치료제 개발에 나섰던 GC녹십자에 대한 집중적인 점검이 진행될 걸로 관측된다.
복지부는 내년 3월까지 코로나 치료제 개발 과제 선정부터 최종 평가까지 사업 전반에 걸쳐 적절성 여부를 면밀하게 점검하고 연구비 집행 등 사업단의 운영 현황 또한 확인한다.
GC녹십자 등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개발에 나섰던 총 14개의 국내 제약사들은 정부로부터 1679억원에 달하는 국비 지원받았지만, 현재까지 신약 개발 성공 사례는 단 한 건도 없다.
특히 GC녹십자는 총 연구비 97억원 중 약 60%에 해당하는 58억원을 지원받았다. 신약개발에 실패한 대웅제약이 국비를 환급한 것과는 달리 녹십자는 국비를 환급하지 않았다. 정부와 맺은 협약과제를 달성해 정상 종료는 됐지만 여러 측면에서 제대로 연구과제를 수행했는지는 의문이다.
특히 100억에 못 미치는 연구개발비로 글로벌 제약사도 쉽사리 하기 힘든 혈장치료제 개발에 뛰어들었다는 점은 의혹을 증폭시킨다. 아울러 제약사 대표가 마치 곧 신약이 상용화될 것처럼 호언장담했다는 모습도 다소 의아스럽다.
제약사 관계자들은 100억원이 안 되는 연구개발비로 혈장치료제를 개발한다는 것은 사실상 쉽지 않다면서 글로벌 제약사도 수년에 걸쳐 수 천억원 단위를 투자해 만들어낼까 말까 하는데 국내 제약사 대표가 마치 곧 상용화될 것처럼 수차례 발언한 점은 다소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신약에 대한 조건부 신청 과정도 다소 통상적이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제약사들은 임상 2상(2a, 2b)을 마치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조건부 허가를 신청한다. 그런데 녹십자는 이례적으로 지난 2021년 4월 3-일 임상 2a 단계에서 식약처에 조건부 신청했다. 결론적으로 식약처로부터 조건부 허가가 나진 않았지만, 의도적으로 무리하게 신청했다는 지적이 있다.
특히 지난 2021년 4월 30일 녹십자가 혈장치료제에 대한 조건부 허가 신청하자 신약 개발 기대감에 따라 녹십자홀딩스 주가는 강세를 보였다. 내부에서도 조건부 허가에 대한 부정적 입장이 있었으나 주가 상승을 노린 무리한 조건부 허가 추진이 아니었느냐는 합리적 의구심이 들 수밖에 없다.
한편 쿠키뉴스는 지난 3일과 6일 <野 반대에 무산된 ‘먹튀’ 제약사 국감 증인 소환> <文정부, ‘K-방역’ 홍보했으나...‘제약사’ 배만 불려> 등 두 편의 보도를 통해 녹십자의 정경유착과 주가 조작 의혹을 제기했다. 녹십자는 이에 대한 어떠한 공식 입장도 내지 않고 있다.
황인성 기자 his1104@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