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4일 (일)
성인 10명 중 8명 “여건 따라 부모 부양 결정해야” 인식

성인 10명 중 8명 “여건 따라 부모 부양 결정해야” 인식

기사승인 2022-11-16 22:12:36
그래픽=이해영 디자이너
박선혜 기자
betough@kukinews.com

과거 부모를 부양하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던 시대적 인식이 달라졌다. 성인 10명 중 8명이 ‘경제 상황이 어렵다면 부모 부양을 의무로 할 필요 없다’라는 생각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16일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는 전국 만 19~5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부모 부양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절반이 “자녀라면 마땅히 부모를 부양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부모가 소득이 없는 경우라면 매달 일정 금액의 생활비 등을 경제적으로 지원해야 한다(70.3%, 동의율)는 인식이 강했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10명 중 3명(33.8%)은 현재 부모를 경제적으로 부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해볼만한 점은 2030 저연령층을 중심으로 ‘부모에게 받았던 경제적 지원을 돌려드려야 한다’(20대 55.0%, 30대 47.1%, 40대 39.6%, 50대 24.6%)는 인식이 강하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다만 ‘부모에게 경제적 지원을 받지 못했다면 부양 의무를 지지 않아도 된다’는 인식 역시 2030 연령층에서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20대 38.0%, 30대 25.6%, 40대 18.8%, 50대 12.4%)

다만 응답자 대부분이 자녀 경제 상황 등에 따라 부모 부양 여부도 달라질 수 있다는 입장이었다. 자식이라면 부모를 부양해야 하는 것이 옳지만, 자녀가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면 어쩔 수 없고(84.7%, 동의율) 자식이라고 무조건 부모를 부양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인식(72.4%, 동의율)이었다.  

그 이유로는 ‘최근 경제적으로 여유로운 생활을 영위하기가 어려운 시기이기 때문’(88.7%)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게다가 부모 부양에 대한 책임감이 점점 더 흐려지고 있음을 체감한다는 대답도 81.9%였다. 

실제로 부모 부양 시 생활비 등 경제적 부담(65.1%, 중복응답)이나 의료/간병비(52.3%) 등 ‘금전적 어려움’을 많이 토로하고 있었으며, 이에 부모님을 부양하는 일보다 나의 생계와 가정을 유지하는 일이 더 중요(53.0%, 동의율)하고, 부모님 스스로 본인들의 노후를 준비하시는 게 좋을 것 같다(54.0%, 동의율)는 의견도 많은 모습을 보였다. 

이렇듯 많은 사람들이 부모 부양 문제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부모 부양의 책임이 전적으로 자녀에게 있다(14.3%, 동의율)는 인식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었다. 또한 부모 부양의 의무를 자녀 개인에게만 전가하는 것은 옳지 않고(88.5%, 동의율), 사회나 국가가 함께 책임져야 할 문제(53.2%)라는 생각도 적지 않았다. 

박선혜 기자 betough@kukinews.com
박선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깜짝 콜업’ 김혜성, 28번째 빅리거로…애틀란타전 대수비 출전

한국을 떠나 미국 도전에 나선 김혜성(LA 다저스)이 빅리그에 입성하며 꿈을 이뤘다.김혜성은 4일(한국시간) 오전 8시15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란타 트루이스트 파크에서 열린 ‘2025 미국 메이저리그(MLB)’ 애틀란타 브레이브스와 원정경기에서 9회말 대수비로 출전하며 메이저리그에 첫발을 내디뎠다.LA 다저스는 이날 경기에 앞서 발목 부상을 당한 토미 에드먼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김혜성을 콜업했다. 김혜성은 내·외야를 모두 소화할 수 있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