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2일 (월)
심상치 않은 어린이 독감 유행…“미미한 증상도 진료 받아야”

심상치 않은 어린이 독감 유행…“미미한 증상도 진료 받아야”

7~12세 독감 환자 수 1000명당 50.4명
발열 없어 치료 시기 놓치기도
“독감 예방접종 소홀히 해선 안 돼”

기사승인 2023-11-01 16:09:35 업데이트 2023-11-01 16:29:10
서울의 한 소아 전문 의료기관 로비 전경. 사진=박선혜 기자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

초등학생 인플루엔자(독감) 유행 상황이 심상치 않다. 특히 초등학생 환자 수가 -증가했다. 유행 기준의 8배에 육박한다. 환절기 대유행 조짐마저 보이고 있어 부모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조기 검사·치료가 요구된다.

1일 의료계에 따르면, 일교차가 큰 환절기로 접어들면서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독감이 무서운 기세로 확산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의 감염병 표본감시 주간 소식지에 따르면, 올해 42주(10월15~21일) 외래환자 1000명당 전체 독감 환자 수는 18.8명으로 전주(15.5명) 대비 21.3% 증가했다. 1000명당 독감 환자 수는 39주(9월24~30일)에 20.8명을 기록한 뒤 40주 14.6명, 41주 15.5명으로 주춤했지만 42주에 다시 급증했다.

특히 초등학생 사이에서 독감이 급속히 번지고 있다. 연령대별로 보면 7~12세 환자 수가 1000명당 50.4명으로 직전 주 31.9명보다 58% 늘었다. 2023~2024년 절기 유행 기준(6.5명)의 7.8배 수준이다. 중·고등학생인 13~18세 환자 수 역시 41주 30.6명에서 42주 39.9명으로 30.4% 늘었다.

현재 유행하는 소아 독감의 가장 큰 특징은 열이 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보호자가 아이의 건강 상태를 바로 알아차리지 못할 수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잔기침이나 엷은 가래 등 미미한 증상만 보여도 지체 없이 의료기관을 찾아야 한다고 당부한다.

이홍준 대한아동병원협회 의약정책이사는 이날 협회 보도자료를 통해 “발열이 없고 기침만 가끔 해 가정에서 돌보다가 내원하는 환아 중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통해 A형 독감임을 확인하는 사례가 빈번해지고 있다”며 “이 경우 치료가 늦어져 호전이 더딜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의약정책이사는 “겨울철 독감 시즌에 접어들면서 이 같은 사례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보호자들의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당부했다.

최용재 협회장도 “증상이 있다면 조속히 내원해 독감 검사를 받은 후 조기 치료를 해야 아이들의 건강을 지킬 수 있다”며 “소아 독감 접종은 독감을 예방하고 중증 독감 합병증, 심근염, 뇌염, 폐렴 등 중증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접종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고도 짚었다.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
신대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잘가요, 뽀빠이 아저씨…이상용, 12일 영면에 들다

‘뽀빠이 아저씨’로 대중의 사랑을 받았던 방송인 고(故) 이상용이 영원한 안식에 들었다. 향년 81세.이상용의 발인이 12일 오전 서울 반포동 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에서 엄수됐다. 장지는 경기도 용인 평온의숲·용인공원이다.이상용은 지난 9일 오후 12시45분께 서울성모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집으로 돌아오던 길에 쓰러졌다가 다시 일어나지 못했다. 사인은 심정지다.1944년생인 이상용은 충남 서천군 출신으로 대전고등학교, 고려대학교 농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