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의 절반가량은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의 50% 미만인 빈곤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 중에서도 노인 빈곤율은 70% 이상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청년 빈곤율도 37%에 달했다.
보건복지부는 28일 서울 이비스 앰배서더에서 ‘제2차 통계행정데이터 전문위원회’를 열고 1인 가구 사회보장 수급 실태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사회보장 행정데이터는 부처·제도별로 분산된 개인 단위 자료를 연계한 통합 데이터다.
분석 결과, 전체 가구의 31.8%를 차지하는 1인 가구의 연평균 시장소득은 1860만원이다. 이는 전체 가구의 균등화 시장소득(2873만원)보다 약 1000만원 적었다. 1인 가구 중에서도 청년은 2433만원, 중장년은 2241만원으로 1인 노인(436만원)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자산 수준의 경우 가장 낮은 자산 1분위에 1인 가구의 43.6%가 분포했다. 18.6%는 소득 1분위에 분포해 1인 가구는 소득과 자산 모두 전체 가구에 비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수급률은 6.5%로, 전체 가구(3.2%)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1인 가구 중에서도 노인의 생계급여 수급률은 14.2%로 다른 인구집단(청년 0.9%, 중장년 6.9%)보다 높았다. 평균 수급액은 청년(61만6000원)이 중장년(51만5000원)과 노인(24만5000원)보다 높았다.
1인 가구 빈곤율은 47.8%로 전체 가구(30%)보다 17.8%p 높았다. 1인 노인 가구의 빈곤율은 70.3%로, 청년(36.9%)과 중장년(43.4%)에 비해 높았다. 지역별로는 농어촌이 55.9%로 가장 높았고, 중소도시(48.5%), 대도시(46.3%) 순이었다.
이상원 복지부 사회보장위원회 사무국장은 “객관적 근거에 기반한 사회보장 정책의 설계·운영 지원을 위해 사회보장 행정데이터의 활용을 권장한다”며 “근거에 기반한 정책이 설계될 때 국민들의 사회보장 체감도가 제고되고 정책 효과도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