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2일 (월)
부산에 있는 문화재 2건,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고시

부산에 있는 문화재 2건,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고시

◈ 부산시 문화재위원회에서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 신청한 문화재 2건,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 고시돼… 부산에 있는 보물은 총 60건
◈ 이번에 지정된 문화재는 ▲수능엄사「금강반야경소론찬요조현록」 2권1책 ▲선광사「예념미타도량참법 권6~10」 5권1책

기사승인 2024-03-04 10:12:37
부산시는 부산시 문화재위원회에서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 신청한 문화재 2건이 보물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지정된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은 ▲「금강반야경소론찬요조현록」 ▲「예념미타도량참법 권6~10」 2건이다.

「금강반야경소론찬요조현록」.부산시
최광수 기자
anggi4@kukinews.com


「금강반야경소론찬요조현록」(수능엄사 소장)은 1373년(공민왕 22)에 판각된 것으로, 기 보물로 지정된 세 번째 판본보다 앞선 시기에 조성됐으며, 인쇄 상태 및 보존 상태가 기지정 본보다 양호하다.

「금강반야경소론찬요(金剛般若經疏論纂要)」를 바탕으로 남송의 승려 혜정(慧定)이 쉽게 주해한 것으로, 「금강반야바라밀경」은 '금강반야경', '금강경'으로 약칭되기도 하며 우리나라의 대표 불경으로 공혜(空慧)를 바탕으로 '일체법무아(一切法無我)'의 이치를 요지로 삼고 있다.

예념미타도량참법 권6~10.부산시


「예념미타도량참법 권6~10」(선광사 소장)은 1474년(조선 성종 5) 판각한 것으로 조선 성종대 역사와 인쇄문화 등을 엿볼 수 있는 자료다. 특히 조선 전기 가장 완성도가 높은 금속활자인 초주갑인자(初鑄甲寅字)로 발문을 찍은 1483년(조선 성종 14) 인출본이라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높다. 
 
또한, 왕실 발원판인 동시에 후일 전국의 여러 사찰에서 간행되는 「예념미타도량참법」의 모본(母本) 자료라는 점, 간경도감판의 판본 양상 등 불교학 연구에도 중요한 학술 가치를 지닌다.

이 책의 표지는 후대에 개장됐다. 표제(表題)는 '대미타참경(大彌陀懺經)'이고, 권수제(卷頭題)와 권미제(卷尾題)는 '예념미타도량참법(禮念彌陀道場懺法)'이다. 

심재민 시 문화체육국장은 “이번 보물 지정으로 우리시는 60건의 보물을 보유하게 된다”라며, “우리시는 아직 그 가치를 드러내지 못한 문화재를 지속해서 발굴하여, 우리 부산 나아가 대한민국의 역사와 가치를 보존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대한민국전자관보(gwanbo.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부산=최광수 기자 anggi4@kukinews.com
최광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이재명 출정식 “진보·보수 아닌 대한민국만 있을 뿐”

21대 대선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12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서울 광화문 청계광장에서 열린 선대위 출정식에서 방탄복을 입고 연단에 올랐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내란을 끝내고 대한민국을 정상으로 돌려놓겠다”라고 말하면서 “이번 대선은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대결이 아니라 내란으로 나라를 송두리째 무너뜨리고 헌정 질서와 민생을 파괴한 거대 기득권과의 일전”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이 후보는 “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