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朝鮮語辭典'은 1938년 청람 문세영 선생(1895-1952)이 편찬해 발간한 사전으로 1946년 조선어학회가 선정한 일제강점기 우리말 관련 3대 저술이자 해방 이전 유일한 우리말 사전이다. 사전은 지은이 말씀 3쪽, 일러두기 5쪽, ㄱ-ㅎ 2634쪽, 음 찾기 26쪽, 이두 찾기 21쪽 등 모두 2689쪽에 이른다. 크기는 가로 15.5㎝ × 세로 22.7㎝ × 두께 6.4㎝이다.
또한 이 사전은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 의해 표기된 최초의 국어사전으로, 당시 표준어 보급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朝鮮語辭典'은 초판 기준 8만여 개, 개·수정증보판 기준 9만여 개라는 방대한 규모의 어휘를 수록했고, 표준말뿐만 아니라 방언·옛말·이두·학술어·속담·관용구 등 다양한 우리말을 수록했다.
특히 '독'은 '돌'의 사투리라고 명시돼 있고, '석(石)'이라는 한자어까지 병기하고 있어, 대한제국 칙령에 나오는 '석도'가 '독도'임을 뒷받침해 주는 근거자료가 되고 있다.
또한 1957년 한글학회의 '큰사전' 완간 이전까지 대표적인 사전으로 기능했으며, 현재 국립국어원의 '근현대 국어사전 서비스'를 위해 활용되고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기증자 대표 정연웅 씨는 "조부에게서 물려받아 선친이 소장해 왔던 이 자료가 우리 지역 박물관에서 잘 보존되고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정재훈 관장은 "기증받은 '朝鮮語辭典'은 1938년 12월 재판본 2000권 중 한 권으로 보이는데, 10월 9일 한글날을 앞두고 이러한 자료를 기증받아 뜻깊다. 기증자의 뜻을 잘 받들어 올해 11월 열리는 '박물관 개관 40주년 기념전시'에 맞춰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진주=강연만 기자 kk77@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