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의 오남용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ADHD 치료제의 40% 이상은 비급여로 처방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제출한 자료를 비교 분석한 결과, 지난해 콘서타 등 ADHD 치료제 전체 처방량 중 45.2%가 비급여로 처방된 것으로 추정됐다.
식약처의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마약류 ADHD 치료제 처방량은 7310만여개, 처방 환자 수는 22만1000명가량이다. 같은 기간 심평원의 마약류 ADHD 치료제 급여 처방량(4300만여개)과 급여 처방환자 수(16만700여명)를 제하면 비급여 처방량은 3300여개, 처방받은 환자 수는 6만여명으로 집계된다.
비율로 따져보면 지난해 ADHD 치료제를 이용한 환자의 27.4%, 더불어 절반에 가까운 45.2%의 처방량이 비급여로 처방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급여 환자와 비급여 추정 환자의 1인당 평균 처방량이 큰 차이를 보였다. 지난해 기준 1인당 평균 처방량은 급여 환자가 249개였다. 비급여 추정 환자의 경우 545개로 2.2배 더 많았다.
이에 ADHD를 진단 받은 환자보다 진단 받지 않은 사람이 더 많은 처방을 받아 복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콘서타 등 ADHD 치료제는 ‘공부 잘하는 약’, ‘집중력 약’으로 알려지면서 10대를 비롯한 젊은층을 중심으로 유행하는 상황이다. 식약처와 심평원이 제출한 2023년부터 2024년 6월까지의 연령별 처방량을 보면, 올해 비급여 추정량의 79.4%는 10·20·30대가 처방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오·남용과 무분별한 처방 등으로 인해 정작 ADHD를 겪고 있는 환자가 치료제를 처방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콘서타를 생산하는 제약사 한국얀센은 원료 수급,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해 지난 9월10일 이후 공급에 일시적으로 문제가 발생했다고 식약처에 신고한 바 있다.
김윤 의원은 “마약류 오·남용 관리를 통해 진짜 필요한 환자에게 치료제가 제때 갈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며 “식약처의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과 심평원의 마약류 의약품 급여 처방 내역을 연동해 분석하는 것에 대한 정책적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