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속도로 휴게소 시장이 소수 기업에 의해 과점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윤재옥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도로공사에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도로공사가 고속도로 휴게소 운영권을 임대한 189개 중 36%가 상위 5개 기업집단에 의해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휴게소를 운영하는 기업은 대보그룹으로 나타났다. 계열사인 대보유통·대보건설 등을 통해 총 26개 임대휴게소를 운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풀무원은 14개, KR이 12개였으며, SPC(9개), 바이오시스(8개)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휴게소를 운영하는 58개 업체 중 45개 업체는 2개 이상의 휴게소를 운영 중이었으며, 이 가운데 15개 업체는 5개 이상의 휴게소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최근 3년간 휴게시설 운영사업에 신규 진출한 업체는 2곳 뿐이었다. 이 중 1곳은 도로공사 퇴직자 단체의 자회사로, 휴게소 4개를 운영하고 있다.
윤 의원은 기존 업체들이 경쟁에 유리하다고 지적했다. 매년 이뤄지는 휴게소 서비스 평가를 근거로 계약연장 및 신규입찰 시 가산점 부여가 이뤄지는 구조때문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해당 업체들이 도로공사 퇴직자를 임직원으로 고용하는 방법으로 ‘그들만의 리그’를 공고히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윤 의원은 “국민 편익을 위해서는 휴게소 운영자 간의 투명하고 공정한 경쟁이 전제돼야 한다”며 “이를 저해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적 미비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