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드원, 한수원 RAG 기반 ‘K-water GPT’ 구축…“공공기관 중 최초”

그리드원, 한수원 RAG 기반 ‘K-water GPT’ 구축…“공공기관 중 최초”

기사승인 2025-02-21 11:31:39


인공지능(AI) 자동화 솔루션 전문기업 그리드원은 한국수자원공사의 업무용 생성형 AI 서비스 ‘K-water GPT’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정식 오픈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서비스는 검색증강생성(RAG) 기반 시스템으로 지난해 12월부터 두 달간 사전 테스트를 거친 후 이날 전체 서비스를 정식 적용했다. 사전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94%의 답변 정확도와 높은 사용자 만족도를 보였다. 국내 공공기관 중 RAG 기반 업무 시스템을 정식 오픈한 기관은 한국수자원공사가 최초다. 

K-water GPT 구축에는 그리드원의 RAG 솔루션 ‘고 래그(GO RAG)’가 적용됐다. 그리드원은 자체 개발한 로보틱스자동화(RPA)와 이미지텍스트추출(AI-OCR)기술을 RAG와 결합했다. HWP, PDF 같은 비정형 문서의 의미를 추출한 후 AI가 답변하는 자료를 최신 상태로 갱신한다. 또 고성능 경량 거대언어모델(LLM)을 내부에 구축해 정보 유출을 원천 차단하고 초기 도입 부담을 줄였다.

K-water GPT 서비스는 △AI가 사용자 질문 유형을 분석해 최적화된 검색 방법 적용 △사용자가 원하는 목록의 자료만 검색 △여러 문서들의 내용을 조합하고 출처와 미리보기를 표시해 답변의 정확도 향상 △문서 다운로드 제한과 접근권한을 제어하는 관리자 기능 등으로 보안성을 강화했다. 또 번역, 요약, 코드생성 등의 부가 기능을 제공해 편의성을 높였다.

정하동 한국수자원공사 디지털관리처 처장은 “이번 업무용 생성형AI 서비스 구축은 수자원공사 디지털 전환의 시작에 불과하다”며 “향후 효과적인 AI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혁신적인 공공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계관 그리드원 대표는 “수자원공사가 공공기관 AI 업무 혁신을 선도해 주셔서 감사하다”며 “공공분야는 많은 데이터를 보유해 AI를 적용하기 가장 적합하고 향후 AI를 업무에 사용하지 않는 곳과의 생산성, 공공 서비스 격차가 놀랄 만큼 차이 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그리드원은 AI 기반 자동화 솔루션 개발 전문 기업으로 지난해 5월 AI 에이전트 솔루션 ‘고두(GO;DO)’를 발표하고 관련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정우진 기자
jwj3937@kukinews.com
정우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