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완주군이 완주문화원 이전에 반발하고 있는 문화원 측의 일방적인 주장을 일축하고, 문화원 이전에 따른 문화예술단체 집적화로 시너지 효과는 분명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완주문화원 이전을 빌미로 사실과 다른 내용으로 기자회견을 갖고 정당한 절차를 거친 행정에 반발해 주민소환으로 완주군을 압박한데 대해 강력히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25일 완주군에 따르면 완주문화원 이전은 문화예술단체의 전략적 집적화를 통해 지역의 역사와 정체성을 지키고 지역문화예술 브랜드 창출과 부흥을 유인하기 위해 추진됐다.
완주문화원을 비롯해 완주문화재단, 완주문화도시센터, 한국예총 완주지회, 완주 생활문화예술동호회 네트워크 등 5개 단체의 ‘복합문화지구 누에’ 이전이 추진됐고, 현재 완주문화원을 제외한 전체 단체가 이전을 완료했다.
이전을 마친 단체들은 협력해 완주예술제를 개최하는 등 대형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중복되는 사업을 최소화하며 문화예술 활성화에 힘을 쏟고 있다.
이에 반해 완주문화원장은 현 위치를 고수하며 이전을 거부하고 있다. 직원들은 문화원 이전에 반대하는 원장과 뜻을 달리해 이전 장소인 완주군청사 복합문화지구 누에로 출근했지만 급여가 제때 지급되지 않으면서 사직했다.
완주군은 또 비영리사단법인인 완주문화원이 보조금에 절대적으로 의지할 것이 아니라 자체적인 재원 마련, 사업 활성화 등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문화원이 복합문화지구 누에로 이전하면 타 기관과의 교류 사업을 비롯해 인적네트워크 등을 기반으로 상생 발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완주문화원이 방만한 운영으로 완주군의 명예를 크게 실추시킨 만큼 절대적인 쇄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실제 완주문화원은 문화원장 임기를 둘러싼 내부 갈등으로 파행 운영되고, 2017년, 2019년, 2020년까지 잇따라 보조금 유용으로 환수 처리되는 문제를 야기했다.
완주문화원은 자체적인 재원을 마련하지 못해 대부분을 군 보조금에 의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군은 최근 5년간 약 12억원을 완주문화원에 지원했고, 대부분이 인건비로 사용됐으며 사업비는 27% 정도에 그치고 있다.
완주군은 문화원이 고수하고 있는 현 완주문화원 공간 역시 완주군의 행정재산으로 점용 사용기간이 2024년 10월 5일자로 만료됨에 따라 반환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완주문화원 이전이 마무리되면 이 공간은 완주 노인회관, 노인일자리 센터로 사용할 계획도 세웠다.
완주군 관계자는 “완주문화원은 공간 이전을 탄압이라며 잘못된 주장을 펼치고 있다”며 “지속적으로 여론을 호도하고, 허위사실을 배포할 경우 법적인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완주문화원이 쇄신을 통해 전 군민의 문화수준과 역사의식을 고취하는 구심점 역할을 하루빨리 수행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