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5일 (화)
‘도심 속 캠퍼스에서 배우고 창업까지’…대구시, 도심캠퍼스 확대

‘도심 속 캠퍼스에서 배우고 창업까지’…대구시, 도심캠퍼스 확대

기사승인 2025-02-27 09:53:11
도심캠퍼스타운 수업. 대구시 제공 
최재용 기자
ganada557@hanmail.net

대구시는 동성로 르네상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도심캠퍼스타운 사업을 올해 확대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 

2025년 도심캠퍼스에는 대구시가 지난해 12월 대구와 경산권 대학을 대상으로 공개모집을 통해 선정한 52개 강의가 개설된다.

도심캠퍼스타운은 도심의 공실 상가와 유휴 공간을 활용해 대학생들이 수업과 실습, 창업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된다. 이를 통해 대학 간 융합과 협력을 촉진하고, 도심 공동화 문제를 해결하며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이 목표다.

올해 1학기에는 도심캠퍼스 1호관과 새롭게 개관한 2호관에서 총 27개의 강의가 진행된다. 대표 강의로는 △로컬크리에이터 창업사례 연구(계명대) △지역문제해결형 리빙랩 캡스톤디자인(대구보건대) △인류의 지속가능한 성장(경북대) 등이 있다. 

특히, ‘대구경북지역학’ 강의는 계명문화대를 포함한 7개 대학이 참여하며, 지역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로컬크리에이터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또 대구시는 지난 1월 대구·경산권 15개 대학과 학점교류 협약을 체결해 학생들이 도심캠퍼스에서 개설된 교과 강의를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도록 했다. 지난해 2학기부터 학점 인정 교과과정을 확대해 2025년 교과 강의 비중을 70%로 확대했다.

정재석 대구시 대학정책국장은 “도심캠퍼스가 학생들로 북적이며 동성로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며 “지자체와 대학이 협력해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 대학 경쟁력을 높이는 모범사례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최재용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트럼프 관세’가 게임업계에 불러올 딜레마

국내 게임업계가 딜레마에 놓였다. ‘보장된 시장’ 중국과 ‘기회의 땅’ 미국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때문이다.15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이 게임업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행정부는 중국에 최대 145%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반도체 등 전자제품 상호관세 여부는 불명확하지만, 대(對) 중국 기조가 거세짐에 따라 관세 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