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 막으려면 거점도시 키워야"…창원시, 대선공약화·국정과제 건의 나서

"지방소멸 막으려면 거점도시 키워야"…창원시, 대선공약화·국정과제 건의 나서

의대 설립·특례시 특별법·GB 해제 등 ‘지역 거점도시 육성’ 본격 추진

기사승인 2025-05-21 20:13:32

수도권 과밀화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창원시가 ‘지역 거점도시 육성’을 국가적 의제로 끌어올리기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에 나섰다.

창원시는 △동남권 초광역 거점도시 실현 △미래 융복합 도시공간 조성을 두 축으로 의대 설립부터 마산 구도심 활성화, 개발제한구역(GB) 전면 해제까지 핵심 정책들을 대선 공약 및 국정과제로 건의하고 있다.

'의대 신설은 필수'…특례시 권한 확보도 병행

우선 시는 경남권 의료 불균형 해소와 미래산업 기반 조성을 위해 ‘창원 의과대학 설립’을 핵심과제로 꼽고 있다. 창원시는 30년 넘게 의대 신설을 추진해왔지만 번번이 무산됐다. 그 결과 현재 경남에서는 연간 20만명 이상이 수도권으로 원정진료를 가는 실정이다. 시는 인근 대학·병원과 협력해 의대 유치를 위한 총력전에 나선다.


이어 ‘특례시 특별법 제정’도 추진한다. 창원은 2022년 특례시로 출범했지만 아직 실질적인 행정·재정 권한이 부족하다는 것이 시의 입장이다. 시는 국회 계류 중인 특별법의 조속한 통과와 함께 비수도권 특례시 기준 완화도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정부에 건의 중이다.


또한 수도권 소재 R&D 중심 공공기관의 창원 이전을 통해 지역산업과의 시너지 창출을 도모하고 있으며 마산 구도심 활성화도 공약화에 포함시켰다. 최근 롯데백화점 마산점 폐점 이후 지역경제 위축이 심화된 만큼 구 백화점 건물의 활용 및 중심상권 회복에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도시 구조 재설계'…GB 해제·마산만 재생 등 제안

미래 도시공간 재구조화 방안으로는 ‘창원권 GB(개발제한구역) 전면 해제’가 핵심이다. 창원시는 "1999년 중소도시 GB는 대부분 해제됐지만, 창원은 예외였다"며 "이로 인해 시가지 개발은 제한되고 도심 경계선의 도넛형 GB들이 도시 균형발전을 저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시는 GB 해제 이후 ‘도시성장경계선’을 도입해 계획적인 개발과 환경 보전을 동시에 꾀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물의 도시 마산 재창조’ 사업도 구상하고 있다. 마산만 해안선을 연결해 시민 친수공간을 복원하고, 항만 기능과 도시미관을 동시에 강화하는 방향으로 해수부 항만기본계획 반영을 추진 중이다.


장금용 창원특례시장 권한대행은 "지방소멸을 막고 수도권 과밀화 문제를 해결하려면 지역 거점도시가 제대로 기능을 해야 한다"며 "창원이 동남권의 실질적 중심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관련 정책들이 국가 차원에서 적극 검토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종효 기자
k123@kukinews.com
강종효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