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의회 문승우 의장과 도의원들이 5일 군산항에 안정적인 수심 확보를 위해 군산항 토사 준설 현장과 운영관리 책임 기관인 군산지방해양수산청을 잇따라 방문했다.
이날 현장 방문에서 전북자치도의회는 군산항의 고질적인 토사 퇴적에 대한 심각성을 함께 인식하고, 안정적인 군산항 수심 확보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문 의장은 이날 오전 10시 김동구(군산2), 박정희(군산3) 의원과 김병하 전북자치도 해양항만과장, 이유청 군산시 항만해양과장, 고병수 군산항발전협의회 회장을 비롯한 관계자들과 함께 군산항 토사 준설 현장을 둘러봤다.
문승우 의장 등 일행은 군산항 제1부두에서 제7부두까지 둘러보며 토사 퇴적 현황과 준설 상황 등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했다.
군산항에 고질적 현안인 토사 퇴적 현상은 금강하구둑 완공 이후 더욱 심해졌고, 유지 준설예산(매년 약 200억원 필요)은 계획 대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군산항에는 연간 약 300만㎥의 토사가 쌓이고 있는데도 준설량은 60~70만㎥에 불과해 땜질식 준설에 그치고 있다.
토사 퇴적으로 현재 1부두에서 7부두까지 수심이 얕아 안전 우려로 군산항 입항을 꺼리는 선박들이 다른 항만에 들러 화물을 하역한 후 무게를 조정해 군산항에 입항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고병수 군산항발전협의회장은 “수심이 낮아 일부 배들은 평택항에 짐을 풀고 수위를 낮춰 군산항으로 들어오고 있어 화주와 화역사 등 모두가 손해를 보는 형국”이라며 “상시 준설체계를 갖춰 충분한 수심을 확보해야 군산항이 살아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승우 의장 등은 군산항 현장 점검에 이어 군산지방해양수산청을 방문하여 류승규 청장과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에서 도의원들은 “국가무역항인 군산항을 정부가 운영 관리하고 있는 만큼 유지 준설비 예산을 확대하고, 제2준설토 투기장 신속 추진과 더불어 투기장 건설까지의 3년 공백 기간 준설토를 야적할 수 있는 장소 등을 검토 해줄 것”을 건의했다.
이에 류승규 군산지방해양수산청장은 “제2준설토 투기장이 조성되는 2028년부터 여유 공간이 늘어난다” 면서 “앞으로도 더 많은 준설 투자를 통해 물동량이 늘어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문승우 의장은 “한때 전국 3대 항만이던 군산항이 고질적인 토사 퇴적 문제로 기본적인 항만 기능도 하지 못하는 현장을 둘러보니 걱정과 우려가 크다”며 “도와 군산시와 해수부 등 유관기관과 함께 군산항이 정상적인 항만의 지위를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전북자치도는 올해 추경예산으로 7000만원을 편성해 군산항의 상시 준설 전담기관으로 ‘준설공사 설립’을 위한 타당성 용역을 추진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