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교육청, 저소득층 교육급여·교육비지원 확대키로

대전교육청, 저소득층 교육급여·교육비지원 확대키로

초·중·고생 교육활동지원비 지난해보다 5% 인상 등

기사승인 2025-04-09 13:17:55
정인기 대전시교육청 기획국장이 9일 오전 대전교육청이 올해 추진하는 주요 교육복지정책에 대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대전교육청

대전교육청은 저속득층과 교육 소외계층 학생들을 위한 교육비 지원사업을 올해 확대하기로 했다.

정인기 대전교육청 기획국장은 9일 오전 기자실에서 저소득층을 위한 교육급여·교육비 지원사업, 취약계층을 위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과 교육복지안전망 사업 등 2025년 주요 교육복지 정책에 대해 브리핑을 했다. 

먼저 교육활동지원비를 올해는 전년 대비 평균 5%를 인상해 연간 초등생 48만 7000원, 중 학생 67만 9000원, 고교생 76만 8000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중위소득 80% 이하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비 지원사업은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은 초 연 72만원, 중·고 연 60만원 까지 지원하고 현장체험학습비는 초 20만원, 중 30만원, 고 55만원 한도로 지원한다. 또 졸업앨범비와 고등학교 석식비는 실비로, 인터넷 통신비는 연 21만원까지 지원하기로 했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저소득층 학생이 많은 초‧중‧고 61교에 교육복지 전문 인력인 교육복지사를 배치하여 취약 학생을 발굴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 학습 동기 강화, 심리‧정서‧복지 등 학생 개별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희망교실' 사제 멘토링 프로그램을 지난해 532개 교실에서 올해엔 649개로 확대 지원할 계획이다.

재해‧재난 등 갑작스러운 위기 발생으로 겪는 어려움을 신속하게 해소하여 학생의 교육활동을 지원하는 '꿈이룸 사제 행복동행'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공‧사기업, 지역 유관기관의 나눔 자원을 학교와 연결하는 '나비프로젝트'를 통해 첨단과학 체험, 축구 클리닉, 가족 기차여행, 장학금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취약 학생의 교육적 성장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교직원·지역사회 소통과 협력을 통한 '학생맞춤통합지원'은 학생의 학습 참여를 어렵게 하는 문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보고 전 교직원의 협력적 소통으로 도움이 필요한 학생을 조기에 발굴, 개입하여 지원하기로 했다.

정인기 기획국장은 "교육 소외계층 지원을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학생들이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익훈 기자
emadang@kukinews.com
이익훈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