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전주시가 여름철 집중호우에 선제적으로 대비해 하천 안전점검에 나선다.
전주시는 여름철 집중호우에 대비해 3개 국가하천(전주천, 소양천, 만경강)과 16개 지방하천(삼천 등), 13개 소하천(안산천 등)에 대한 안전점검과 함께 하천 범람 등 자연재해 예방을 위한 하도 정비를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제방·호안, 산책로, 배수문(15개소), 가동보(4개소) 등 유지·관리 상태 △하천수 흐름에 지장을 주는 각종 장애물 현황 △하천공사 현장 등 안전점검에 집중할 계획이다.
장마철 홍수기에 대비해 하천 퇴적토(전주천 객사천 합류점, 완산교, 백제교) 제거와 동시에 고사 식물·잡목 제거(전주천 승암교~진북교, 삼천 세내교~서곡교) 등 재해예방 하천 정비사업을 지속 추진한다.
시민들에게 쾌적한 하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하천 산책로 조도 개선과 풀베기, 화장실 설치, 쓰레기 제거 등 하천 환경 개선사업도 전개한다.
지역단위로 방재시설을 통합(펌프장, 하수도, 하천 등)해 재해 위험 요인을 일괄 해소하기 위한 ‘풍수해 생활권사업’으로는 총 440억원을 투입해 조촌 풍수해생활권 정비사업을 추진 중이다.
또한 시는 △미산(360억원) △객사천(368억원) △월평(461억원) △공덕(250억원) 등 4개 지구에 대해서는 재해위험별로 지정된 위험성이 높은 지역을 정비하는 재해위험개선지구 사업도 전개한다.
집중호우로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경사면을 보수 보강하는 급경사지 정비사업으로 서서학동 성결지구(5억원)와 서서학 10지구(20억원)를 마무리한 데 이어, 현재 중화산동 도토리골지구(83억원)와 우아동 아중호수길지구(70억원) 등에 대한 붕괴위험지구 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시는 또 저지대에 급속히 증가하는 빗물을 일시적으로 가두는 시설인 우수저류시설 설치사업이 완료된 전주초지구(125억원)와 매화지구(171억원), 송천1지구(254억원)에 이어 지난 2020년 침수 피해가 발생한 평화동 신성공원 일대 도심지 침수를 막기 위해 총 272억원을 들여 신성공원 내 지하저류조를 설치하고 학소제를 정비하는 학소지구 우수저류시설 설치사업을 추진 중이다.
국승철 전주시 건설안전국장은 “하천의 지속적인 정비와 관리를 통해 침수 피해 등 재난사고가 발생했거나 사고 위험이 높은 지역은 위험 요인을 제거해 시민들의 안전이 확보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