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과 탄핵·조기 대선 국면으로 부동산 시장이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도 50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는 신고가 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1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이달 10일까지 신고된 서울의 5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는 163건으로 전년(73건) 대비 2.2배 증가했다. 이 기간 100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 거래는 작년 6건에서 올해 8건으로 늘었다.
정부와 서울시가 지난달 24일부로 토지거래허가구역을 강남 3구와 용산구 전체 아파트로 확대한 뒤 서울 아파트 거래가 급속하게 얼어붙었지만 고가 아파트는 신고가가 잇따르고 있다.
강남구 압구정동 ‘한양’ 전용면적 208㎡(69평)는 지난 3일 85억원에 매매됐다. 직전 거래(올해 1월) 이후 3개월 만에 8억원이 뛰며 신고가를 새로 썼다.
5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는 강남구 압구정과 서초구 반포에 집중됐다. 반포동 거래가 56건으로 34%를 차지했고, 압구정 거래는 44건(30%)이었다. 영등포구 여의도동(12건), 강남구 대치동(11건)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5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 중 압구정동 거래가 23건으로 32%를 차지했고 반포동은 13건(18%) 있었는데, 반포 고가 거래가 눈에 띄게 늘었다.
특히 100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 거래는 용산구 한남동에 집중됐다. 올해 들어 거래된 최고가 아파트는 한남동 한남더힐로 조사됐다. 한남더힐은 지난달 전용면적 243.2㎡가 175억원에 거래됐다. 매매가격 상위 2위 거래는 한남동 나인원한남으로 지난달 244.3㎡가 158억원에 매매됐다. 3위는 성수동 아크로서울포레스트 159.6㎡로, 2월 135억원에 거래됐다. 지난해 7월 있었던 직전 거래가(110억원)보다 25억원 오른 신고가였다.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154.97㎡는 올해 2월 100억원에 손바뀜하며 역시 신고가를 새로 썼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에도 최상급 아파트는 상승세가 전망됐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토허구역에도 최상급지역은 입지적으로도 경쟁력을 갖췄고 거주보단 자산 가치가 높다”고 말했다. 이어 “일부 최상급 아파트들은 규제의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다. 희소성이 높아 대체 불가한 지역이기 때문”이라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