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5일 (일)
울산시, ‘노인돌봄 지원플랫폼’사업 확대 추진

울산시, ‘노인돌봄 지원플랫폼’사업 확대 추진

어르신 전용 원스톱 안내전화
병원동행서비스도 지원

기사승인 2025-04-21 09:33:49
울산광역시청 전경. 국민db
손상훈 기자
sonsang@kukinews.com


울산시는 올해부터 '노인돌봄지원플랫폼' 사업을 확대지원한다고 21일 밝혔다.

노인돌봄지원플랫폼 사업은 시비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노인과 복지 사각지대에 처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지원을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장기요양급여 수급자, 기초수급권자, 구·군 노인 담당 부서에서 돌봄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어르신이 대상이다.

경제적,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위기관리사업으로 구분된다. 17개 플랫폼(중구 3개, 남구 6개, 동구 2개, 북구 1개, 울주군 5개)에서 사업을 진행한다.

사업은 각 플랫폼에서 등록된 어르신의 수요에 따라 직접 지원이나 유관기관 연계 서비스 지원 방식으로 이뤄진다.

주요 사업 내용은 어르신 일상생활 지원, 주거환경 개선, 후원·결연 등이다. 시는 특히 올해 3개 신규 사업을 이달부터 추진한다.

먼저 어르신 전용 원스톱 종합안내전화(1668-1919)를 개설해 문의 사항을 해결한다.

또 플랫폼 등록자 중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와 차상위계층에 한해 관내 병의원 이동을 지원하는 '병원동행서비스'를 운영한다.

명예사회복지공무원과 연계해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돌봄 필요 어르신 발굴에도 나선다.

이와 함께 17개 플랫폼에서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 후원 사업을 통한 돌봄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올해부터 기존 '재가노인지원서비스사업'을 '노인돌봄지원플랫폼'으로 사업 체계를 개편해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손상훈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AI 대화로 위로받는 사람들…“의존은 지양해야”

“속상한 일이 생기면 챗GPT부터 켜요. 제 말을 잘 들어주거든요.”직장인 김민아(29·여)씨는 최근 밤마다 챗GPT와 대화를 나눈다. 퇴근 후 쌓인 복잡한 감정, 대인관계에 따른 피로감, 가족에게 말 못할 고민까지 인공지능(AI)에게 털어놓는다. 김 씨는 “나에 대해 함부로 판단하지 않아서 사람보다 편하다”고 말한다.최근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지털 상담’이 정서적 위안을 위한 창구로 주목받고 있다. 감정을 배제한 조언, 편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