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아 수 감소가 사망 위험 증가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한치과보철학회는 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틀니의 날 제정 10주년 기념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만 60세 이상 고령자 1만4253명을 대상으로 치아 수 감소가 사망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다. 2007년부터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와 사망 원인 통계를 연계한 대규모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했다.
연구팀이 잔존 치아 수가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잔존 치아 수가 1개 감소할 때마다 사망 위험이 약 1.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아가 4개 상실될 경우 약 5%, 8개 상실될 경우 약 10%로 사망 위험이 늘어났다. 치아 28개 전부 남아있는 그룹에 비해 치아가 상실된 그룹에서는 10년 생존율도 감소했다.
특히 치아를 8개 상실해 잔존 치아가 20개 미만일 때 사망 위험이 높아지는 점을 확인됐다. 잔존 치아가 20개 이상인 경우에 비해 10년 생존율이 약 14.9% 낮았다. 15년 생존율은 21.5%까지 감소했다.
이때 상실된 8개의 치아는 주로 큰 어금니였다. 한국인의 치아 상실 빈도를 보면, 큰 어금니의 상실 빈도가 50%에 가까웠다. 대한치과보철학회 차기 회장인 김성균 서울대치과병원 교수는 “치아가 20개 남은 사례는 대부분 어금니 8개를 상실한 경우”라며 “큰 어금니를 상실하면 저작의 효율이 떨어지면서 음식 섭취가 어렵다. 치아 상실 시 사망 위험이 증가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다만 틀니나 임플란트 같은 보철 치료를 받으면 생존율이 향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존 치아가 20개 미만으로 남아있는 경우 보철 치료를 받은 사람은 사망 위험도가 15.5% 낮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는 잔존 치아가 적게 남아있을 때 고정성 보철, 부분 틀니, 완전 틀니로 보철 치료를 할 경우 사망 위험도를 줄일 수 있다는 의미”라며 “보철 치료가 고령자의 생존율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보철 치료와 생존율이 밀접한 연관이 있는 만큼 건강보험 적용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현재는 만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평생 2개까지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다. 김 교수는 “건강보험 재정을 고려해 임플란트 4개까지 적용받을 수 있도록 학회 차원에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학회는 틀니의 날 제정 10주년을 맞아 구강건강 관리의 중요성을 알리는 대국민 캠페인을 진행했다. 김 교수는 “치아 상실에 대한 두려움을 줄여 적극적인 치과 치료의 필요성을 인식시키는 데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지난 10년간 틀니의 날 캠페인과 기념식을 후원해 온 글로벌 컨슈머 헬스케어 전문기업, 헤일리온 코리아 신동우 대표이사 사장은 “초고령사회를 맞은 한국에서 건강의 기초 자산인 구강건강과 틀니의 효용성은 앞으로도 더욱 널리 알려야 할 것”이라며 “틀니 사용에 대한 인식 개선과 건강한 사용 문화 확산을 위해 대한치과보철학회와 지속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