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아파트 임대차 시장에서 전세 거래가 줄고 월세 거래는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는 당분간 월세 선호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18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등록된 서울 아파트 임대차 거래 가운데 신규 계약 건을 분석한 결과 지난달 서울의 전세 비중은 52%로 지난해 같은 달(59%) 대비 7%포인트(p) 낮아졌다. 반면 월세 비중은 같은 기간 41%에서 48%로 7%p 늘어 전세와 월세가 거의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보증금 대비 월세 수준’을 기준으로 한 확장 지표를 살펴보면 전세와 유사한 계약 비중은 1년 새 6%p 줄고 월세와 유사한 계약 비중은 6%p 늘었다. 실제 올해 들어 전세 유사 계약 비중은 대부분 50%대 중반 이후로 유지되고 있는 반면 월세 유사 계약은 40%대 후반까지 비중을 확대했다.
전세보다 월세비중이 높은 지역은 △동대문구(62%) △강북구(60%) △종로구(59%) △용산구(57%) △금천구(55%) △중랑구(54%) △강남구(53%) △중구(53%) 등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용산‧강남‧중구‧종로 등 중심권 지역은 직주근접 수요가 밀집된 고가 주거지로 전세금 마련 부담이나 유동성 선호 경향이 상대적으로 커 월세 거래 비중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동대문구와 중랑구는 ‘휘경자이 디센시아’, ‘리버센 SK뷰 롯데캐슬’ 등 신축 아파트에서 월세 거래가 활발하게 나타났다. 초기 자금 부담이 커 월세 거래가 는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도봉구‧동작구‧양천구‧성북구‧노원구 등은 여전히 전세 비중이 절반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은 전세 중심의 구조가 비교적 유지되고 있어 지역별 수급 상황이나 가격대, 주거 선호도에 따라 임대차 시장의 변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직방 관계자는 “서울 아파트 임대차 시장은 전세 중심 구조에서 월세 중심 구조로 서서히 이동하고 있다”며 “이러한 흐름은 단기적인 요인보다는 금리 수준과 전세대출 규제 강화, 보증 한도 축소 등 자금 조달 여건의 변화와 맞물려 나타나는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6‧27 가계부채 관리 강화 대책 이후에는 전세금 마련이 까다로워져 초기 자금 부담이 적은 월세 계약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전문가는 월세 선호 현상이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심형석 우대빵연구소 소장(미국 IAU 교수)은 “전세 매물 부족, 6‧27 대출 규제 등의 영향으로 월세 수요가 늘고 있다”며 “최근에는 월세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임대인들 역시 월세를 더 선호하고 있다. 당분간 월세 선호 현상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