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사회에서 패자부활이 불가능하다고 느끼는 청년들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절반 이상은 한국 사회가 상식적이지 않다고 생각했다.
쿠키뉴스가 창간 20주년을 맞아 여론조사기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1일부터 5일까지 5일간 전국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국 사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73.0%가 한국 사회를 ‘패자부활이 불가능한 사회’라 느낀다고 답했다.
패자부활이 불가능한 사회라 느끼는 인식은 남성(67.6%)보다 여성(78.9%)에서 두드러졌다. 특히 결혼한 여성 중 가사·육아 등 주로 가정을 돌보는 전업주부 10명 중 9명(93.3%) 이상은 “패자부활전이 불가능한 사회”라고 응답했다. 이는 정규직(72.9%) 비정규직·임시·일용직(73.7%) 자영·사업(71.0%) 무직·준비(79.2%) 학생(66.7%)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한국에서 패자부활이 어렵다는 생각이 확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만 35~39세 청년 78.9%가 한국은 패자부활전이 불가능한 사회라고 답했다. 반면 같은 답을 한 19~24세 청년은 13.6%포인트 적은 65.3%에 머물렀다. 25~29세 청년과 30~34세 청년은 각각 74.1%, 73.9%가 패자부활에 대해 부정적으로 봤다.
다른 질문에서도 한국 사회에 대한 청년들의 부정적 인식이 드러났다. 한국 사회가 불평등한 사회라 생각하냐는 질문에 71.8%, 불공정한 사회로 생각하냐는 질문에 72.2%의 청년들이 ‘그렇다’고 답했다. ‘노력의 결과가 정의로운 사회가 아니다’라는 응답에도 전체의 74.5%가 동의했다. 또 청년 절반 이상(58.4%)은 ‘상식적인 사회가 아니’라고 응답했다. 전체 청년 응답자 10명 중 8명(81.6%) 이상은 ‘2030세대의 미래가 밝지 않다’는 데 동의했다.

20대 청년 절반, 다문화·이민자 증가 ‘긍정적’
청년들이 한국 사회에 대해 느끼는 인식은 부정적인 편이지만, 다문화·이민자·난민 등에 대해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국에 정착하는 다문화·이민자·난민 등 외국인이 증가하는 경향에 대해 전체 청년 49.1%가 ‘긍정적’이라고 답변했다. 긍정적으로 보는 남성 청년은 48.7%, 여성 청년은 49.4%로 성별이 달라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연령대에 따라선 젊을수록 외국인의 한국 정착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20대 청년 52.7%가 외국인의 한국 정착이 증가하는 현상에 ‘긍정적’이라고 답변했다. ‘긍정적’이라고 응답한 30대는 45.5%로 20대보다 7.2% 포인트 낮았다. 특히 외국인의 한국 정착을 긍정적으로 본 20대 초 여성 비율은 57.5%로 가장 높았다.
이번 설문조사는 무선 RDD 문자 발송을 통한 모바일 조사로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3.1%p다. 표본추출은 문자 발송 RDD 표본 프레임에서 성·연령·지역별 할당 무작위 추출 방식이며, 통계보정은 지난해 11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 성·연령·지역별 사후 가중값 부여 방식으로 이뤄졌다.
임지혜 기자 jihye@kuki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