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경제] “다음은 어디인가?” “A,B도 부도위기에 직면했다.”
중견 건설업체 신창건설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건설업계에 흉흉한 이야기가 나돌고 있다. 건설대란설까지 제기된다. 특히 신창건설이 B등급(일시적 유동성 부족)을 받은 이후 두달 만에 무너진데 대해 금융권 주도 구조조정이 엉터리였다는 지적도 나온다.
◇흉흉한 건설업계, 6월 대란설까지=10일 B등급 업체들 사이에서는 다음에 쓰러질 구체적인 기업명까지 거론됐다. 상위등급도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 일각에서는 구조조정 여파에다 정부의 건설경기 진작대책이 효과를 보지 못하면서 ‘6월 건설대란설’까지 떠돌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사업이 활기를 띠어야 자금난이 완화될텐데 성수기인 봄철 분양시장도 여전히 얼어붙어 있다”며 “6월이면 한계에 이르는 업체들도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업체들은 발빠르게 자구책 실행에 들어갔다. 동일하이빌은 장기적 유동성 확보를 위해 본사를 충남 천안으로 이전키로 했다. 보유 중인 인천 연수구, 서울 노량진 등의 택지도 매각을 추진 중이다. 임원은 급여에서 20%를, 직원은 10%를 반납했다. 신동아건설도 임원 연봉 10% 반납, 원가 및 운영비 절감을 시작했다. 인력도 현장과 영업부서 위주로 재배치했다. 지난해 매각한 두바이 사업장 대금으로 유동성을 채우고 있는 현진은 추가 자산 매각계획을 세우고 있다.
워크아웃 대상인 C등급 건설사들은 금융권 분류작업이 명확한 근거 없이 진행됐다며 불만이다. 객관적 자료 외 평가항목이 많아 금융권 입맛에 따른 임의적 분류가 많았다는 것. C등급 건설사 관계자는 “우리보다 재무제표가 엉망인 회사를 B등급으로 해놓은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며 “1차 구조조정 작업에서 재무 항목보다 비재무 항목의 비중이 높았던 문제점이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사 도덕적 해이, 건설 구조조정 왜곡=금융권 주도의 건설사 구조조정이 오히려 업계를 고사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구조조정 추진으로 금융회사들이 건설사에 대한 대출을 극도로 억제하면서 유동성에 별다른 문제가 없었던 업체도 돈줄이 마르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그동안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대폭 인하(5.25%→2.0%)했음에도 불구하고 금융회사들은 오히려 가산금리를 더 높게 책정해 이자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불만도 나온다. B등급 업체 관계자는 “실제로 채권 금융기관 등은 대주단 협약에 따라 대출금 상환유예, 이자율 인하 또는 동결 등 지원방안을 약속해 놓고도 정작 채무 재조정 과정에서 이자율을 높이거나 대출금 추가담보 제공 등을 강요해 심각한 유동성 위기에 직면하게 됐다”고 토로했다.
이에 따라 업계 안팎에선 외환위기 때처럼 정부 주도의 구조조정이 신속히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외환위기 이후 워크아웃처럼 퇴출 기업은 과감하게 퇴출시키고 살릴 기업은 확실히 지원해줘야 한다”며 “특히 민간보다 정부가 나서 확실하게 교통정리를 해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강수 대구가톨릭대 부동산학부 교수는 “금융회사들의 이해관계가 걸려 있는 상황에서 민간에서 자체적으로 구조조정을 하기는 힘들다”며 “이 기회에 정부가 나서 신속하게 구조조정을 유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최정욱 김현길 기자
jw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