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비게이션에 새 주소가 입력되지 않은 탓에 택시기사들은 기존 주소를 사용했다. 경찰과 소방서도 마찬가지였다.
광진소방서의 한 소방관은 “내비게이션이 새 주소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데다 가장 중요한 동(洞)이 안 나오니까 전혀 엉뚱한 길로 안내한다”면서 “1분1초가 아까운 시간에 주소를 찾지 못해 헤매다 보면 생명을 구하지 못할 수도 있어 아직은 소방방재센터 본부에서도 옛 주소를 바탕으로 신고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강력계 한 형사는 “도로명을 누르면 비슷한 주소가 100여개는 나오기 때문에 내비게이션에 옛 주소를 먼저 누르고 근처에 가서 새 주소로 바꿔 목적지를 찾는 식으로 일이 번거로워졌다”고 한숨을 쉬었다.
길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택시·택배기사들의 어려움은 더 컸다.
택시기사 김모(38)씨는 “예전에는 ‘○○동’이라고 하면 대충 위치를 짐작할 수 있었는데 도로명만 보고는 감을 잡지 못하겠다”며 “내비게이션에 아직 새 주소가 입력되지 않아 당황스럽다”고 말했다.
택배기사 이모(48)씨는 “하루에 수백개를 운송하는데 동네 작은 골목길까지 주소를 모두 외워야 해 너무 불편하다”고 말했다.
부동산 거래에도 혼란이 우려되고 있다. 매매·임대차 계약 시 해당 건물 주소는 기존 지번 주소로 표시하지만 계약자의 주소는 도로명주소를 써야 하기 때문이다.
정부에서 수년간 홍보를 거쳤다고는 하지만 새 주소에 익숙지 않은 시민들은 불편을 호소했다. 주민등록등본 등 민원서류를 떼려고 관악구청을 방문한 60대 남성은 새 주소를 몰라 직원에게 확인하고 나서 등본을 뗄 수 있었다. 이 남성처럼 새 주소를 몰라 당황한 시민들의 문의가 하루 종일 쇄도했다.
거주지 도로명주소는 네이버 등 인터넷 포털 사이트나 도로명주소 안내 홈페이지(www.juso.go.kr)에서 기존 주소를 검색하면 확인할 수 있다. KT와 안전행정부가 제공하는 홈 주소 변경서비스(www.ktmoving.com)를 이용하면 은행이나 카드사 등 각종 고지서 주소를 일괄 변경할 수 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종구 기자 jg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