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예금은행의 평균 명목 대출금리(한국은행의 가중평균 금리 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4.64%로 전년(5.40%)보다 낮아졌다. 그러나 명목 대출금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뺀 실질 대출금리는 3.20%에서 3.30%로 올라갔다. 실질 대출금리는 2011년 1.80%를 저점으로 2년 연속 올라 작년에 2007년(4.10%)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연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금리보다 더 가파르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주택담보 대출은 2011년 0.92%에서 2012년 2.43%, 지난해 2.56%로 실질 금리가 올랐으며 소액대출도 같은 기간 2.67%, 4.40%, 4.65% 등으로 상승했다. 지난해 말 은행 대출이 있는 채무자의 잔액 기준 실질 대출금리도 3.42%로, 2012년 말(3.11%)이나 2011년 말(2.01%)보다 높다. 잔액기준 연말 실질 대출금리도 2007년 말(4.66%) 이후 최고치다. 이 기간 연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도별로 4.0%→2.2%→1.3%로 낮아졌다. 정기예금의 실질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2011년 마이너스(-0.31%)에서 2011년 플러스(1.23%)로 전환하고 작년에는 1.40%로 상승했다.
저금리이지만 저물가 덕분에 예금액이 많은 자산가는 기대보다는 나쁘지 않는 이자를 받는 셈이다. 하지만 자산보다 부채가 많은 저소득 계층의 부담은 더 늘게 됐다. 특히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0개월 연속 한은 중기 물가안정 목표(2.5~3.5%)를 크게 밑돈 데다 올해도 목표치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실질 금리 상승에 따른 소비 및 투자 위축 우려가 높다.
전문가들은 “미국에서 금리 인상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어 향후 시중금리가 오를 경우 채무자들의 부담은 더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