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신한·KB국민·삼성·현대·롯데·우리·하나SK·NH농협카드로 올해 등록금 납부가 가능한 대학은 전국 대학 431곳(대학알리미 기준) 중 25.3%인 109곳뿐이다. 카드사별로 등록금 결제가 가능한 대학은 삼성카드 42곳, NH농협카드 34곳, 신한카드 25곳 등이다.
또 대부분 대학별로 결제 가능한 카드는 1~2개 카드사로 한정돼 있다. 1개 카드만 받는 곳이 71곳, 2개는 29곳으로 1~2개만 받는 곳이 전체의 91.7%를 차지한다. 카드 할부 결제를 위해선 카드를 새로 발급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카드 결제가 가능한 대학의 면면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재정이 열악한 지방대에 편중돼있다. 서울 주요 대학 중 카드 납부가 가능한 곳은 서울대, 연세대, 서강대, 성균관대, 중앙대, 이화여대 등이다. 카드사와 가맹점 계약을 맺지 않은 고려대와 한양대에선 신용카드 결제가 아예 되지 않는다.
대학이 카드결제를 꺼리는 이유는 수수료다. 카드사와 가맹점 계약을 하면 1% 중후반 대의 가맹점 수수료를 내야 한다. 지난해 사립대 연간 평균 등록금 736만을 기준으로 하면 11~14만원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금융소비자단체인 금융소비자원은 이런 대학의 행태가 학생들의 선택권을 제한하는 불공정 행위에 해당한다고 보고 3월 초 등록금 카드 결제를 거부하는 대학을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