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 상급종합병원들도 성장은 하고 있지만, 적자를 면치 못한 병원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충청권, 전라권에서는 국립대병원은 물론 사립대병원까지 대부분 당기순이익에서 이익이 아닌 손실을 기록했으며, 선방했던 부산권의 이익감소가 눈으로 확인되고 있었다. 대구권에서만 전년과 비슷한 이익을 냈다.
2013년 공공기관 알리오와 각 대학 결산자료 분석결과, 2012년 일제히 적자를 기록했던 충청권의 충북대병원, 단국대병원, 충남대병원은 전년대비 의료수익 성장률이 타 지역에 비해 가장 높았다. 그러나 모두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적립이 전혀 없이 적자로 마감했다.
충북대병원의 의료수익은 1389억2853만으로 8.2% 성장했으나 의료이익에서 -50억 8178만원을 거두면서 -29억 8422만원으로 최종 마무리했다.
단국대병원은 올해 7.0% 성장한 1792억8461만원을 달성하고 의료이익에서 흑자를 냈지만, 의료외이익에서 적자를 기록하면서 최종적으로 -13억2433만원으로 마감했다. 2012년에 비해 20억원 가량 사라진 수치다.
2012년 99억원에 달하는 흑자를 낸 충남대병원은 9.1% 성장한 2700억 2495만원을 기록했지만, 의료이익에서 -226억6932만원과 당기순이익 -184억 1600만의 저조한 실적을 거뒀다. 전년대비 순이익이 무려 284억원 줄었다.
전라도권 역시 전년에 이어 위태위태해 보인다. 원광대병원은 1535억 5905만원의 의료수익, 40억 4417만원의 의료이익을 올리면서 10억5836만원의 당기순이익으로 결산했다. 아슬아슬하게 흑자를 기록한 것이다.
2012년 48억원에 달하는 흑자를 낸 전북대병원은 2586억6577만원의 의료수익을 올렸지만,
203억원에 달하는 의료이익에서의 적자가 나면서 당기순이익 -76억 3116만원으로 최종 마무리했다. 141억원 가량의 순이익이 날아간 셈이다.
-42억원의 적자로 위기감이 가득했던 조선대병원은 6.8% 성장한 1453억9855만원을 기록하면서 안간힘을 쓴 흔적이 보였다. 하지만 여전히 12억2473만원이라는 적자를 남겼다.
대구권은 모두 흑자이면서 타 지역에 비해 괜찮은 실적을 안겨줬다. 동산병원과 대구가톨릭대병원의 이익이 늘었고, 국립대병원인 경북대병원도 타지역과는 달리 흑자경영을 했다.
대구, 칠곡을 합산한 경북대병원은 전년대비 5.1% 성장한 4031억3283만원, 당기순이익 16억8270만원을 기록했다.
센터 확장 등이 한창인 계명대 동산병원은 5.3% 성장하고 여유있게 203억원의 고유목적사업준비금을 적립하면서 203억 3293만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린 것으로 추산됐다.
대구가톨릭대병원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0원이었으나 올해 3.2% 성장, 2063억2300만원의 의료수익, 77억8200만원의 의료이익을 거두면서 당기순이익 122억5800만원으로 선방했다.
영남대병원은 3.8% 성장한 2289억2252만원의 의료수익을 거뒀으며, 세제혜택을 위해 고유목적사업준비금 179억7679만원을 빼고 0원으로 결산한 흔적이 보였다.
경남, 부산권에서는 아직까지 대체로 흑자였지만 전년 이익대비 반토막이 났다.
진주 경상대병원은 6.3% 성장한 1820억211만원의 의료수익이었으나, 의료이익에서 -89억8600만, 당기순이익에서 -141억9506만원이라는 손실을 냈다.
고신대복음병원은 4.1% 성장했으나 순이익에서 지난해보다 33억원 가량 빠진 11억8996만원으로 결산했다.
2012년 184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던 동아대병원은 2.5% 성장했으나 최종적으로 134억 7709만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리면서 수익성은 악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부산대병원은 3.7% 성장해 4894억2594만원의 의료수익, -7억 7152만원의 의료이익을 거뒀으나, 의료외수익에서 이익을 올렸다. 155억원의 고유목적사업준비금을 적립하고 37억 7834만원으로 마감했다. 전년대비 60억원의 이익이 사라진 셈이다.
부산백병원도 3.9% 성장했으나 당기순이익이 전년 76억원에 비해 36억 6927만원으로 절반 가량이 줄었다.
이들 병원은 지역 환자의 서울유출 막기에 안간힘을 쓰면서도 지역거점병원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정부, 지자체 지원 요구에 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역 의료관광 활성화 정책도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다.
한 지방병원 보직자는 “다행히 지역에서도 암 등 중증질환이 충분히 치료 가능하다는 여론이 아직까지는 많다. 하지만 원격진료, 메디텔 등이 허용되면서 결국 거대 자본이 환자를 싹쓸이해가는 구조를 낳을 것”이라며 “현재로선 향후 몇 년의 생존 가능성조차 내다보기 어렵다”고 해석했다.
쿠키뉴스 제휴사 / 메디칼업저버 임솔 기자 slim@mo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