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잡는 마취, 5년간 82명 사망했다… 전신이든 수면이든 모두 사고

사람 잡는 마취, 5년간 82명 사망했다… 전신이든 수면이든 모두 사고

기사승인 2015-02-05 21:12:59

[쿠키뉴스=조현우 기자] 국내 병·의원에서 마취 관련 의료사고로 한해 평균 최소 16명 이상이 사망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김덕경 교수팀은 2009년 7월부터 2014년 6월까지 5년간 국내 의료기관에서 발생한 마취 관련 의료분쟁 중 대한마취통증의학회가 자문한 105건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국내 의료기관에서 마취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관련 통계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논문을 보면 이 기간에 마취 관련 의료사고를 당한 환자 105명 중 82명(78.1%)이 숨졌으며, 나머지 환자들도 영구적인 장애를 입었다. 마취사고 환자들은 비교적 젊은 60세 이하가 82.9%에 달했으며, 미국마취과학회 기준으로 신체등급지수 1 또는 2의 건강한 환자가 90.5%였다.

실제로 마취통증의학회는 전체 105건의 마취 의료사고 가운데 42.9%에 대해 “표준적인 마취관리만 했더라도 예방이 가능했었다”고 판정했다. 세부적인 마취사고 원인으로는 호흡기 관련 질환 53.3%, 급성심근경색 등의 심혈관계 질환 29.3%로 각각 집계됐다.

마취 사고를 형태별로 보면 전신마취가 50건(47.6%)으로 가장 많았지만, 일반인들에게 전신마취보다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는 수면마취(진정)도 39건(37.1%)으로 적지 않았다. 수면마취사고의 92.3%(36건)는 환자의 치료와 진단을 담당하는 의사가 직접 수면마취제를 주사한 경우에 발생했다.

수면마취사고에 사용된 약물은 마약과 같은 환각효과가 있고 중독성이 강한 '프로포폴'이 89.7%(35건)로 압도적이었다.

대부분의 사고 의료기관에서는 수면마취가 부적절하게 관리되고 있었다. 마취 전 환자 평가기록이 없는 경우가 92.3%에 달했고, 98.7%에선 수면마취에 대한 기록지도 없었다. 또 6건(15.4%)의 수면마취사고는 수면마취 중 환자 감시 장치가 전혀 사용되지 않았으며, 24건(61.5%)에서는 수면마취 중 보조적인 산소공급이 이뤄지지 않았다.

김덕경 교수는 “이번 분석은 의료분쟁까지 간 경우만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실제 국내 마취 관련 사고는 매년 100건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번 논문은 대한의학회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JKMS) 2월호에 발표됐다.
조현우 기자 기자
canne@kmib.co.kr
조현우 기자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