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통증 환자 급증…주요인은 ‘수면 이갈이’?

턱관절통증 환자 급증…주요인은 ‘수면 이갈이’?

기사승인 2016-06-20 17:01:41

#고등학생 이모(18)양은 요즘 고민이 많다. 아침에 잠자리에서 눈을 뜨면 찾아오는 두통이 점점 더 심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자고 일어났을 때 치아가 얼얼하고 턱은 물론 주변의 목과 어깨, 귀속 근육까지 통증이 느껴졌다. 이 양은 학업에 집중해야 하는 시기인 만큼 ‘스트레스로 인한 일시적인 증상이겠지’라고 생각했지만, 매일 아침 찾아오는 통증에 스트레스가 커지고 컨디션도 무너졌다. 결국 통증을 참다못해 병원을 찾았다. 그녀는 의사로부터 자신의 통증이 ‘수면 이갈이’ 때문이라는 진단을 받고 깜짝 놀랐다. 몇 개월간 기구치료와 물리치료 등을 받고 이갈이가 줄었고 통증도 사라졌다.

이처럼 턱관절통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해마다 꾸준히 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을 보면 턱관절장애 진단을 받은 환자는 2010년 25만명에서 2015년 35만명으로 40.5%가 증가했다. 특히 2015년 턱관절장애 환자 중 10대가 5만9천명(17.1%), 20대가 9만3천명(26.9%)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해 학업에 힘쓸 시기에 턱관절통증 때문에 고충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턱관절통증의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 이갈이가 제기되고 있다. 이갈이는 무의식적으로 또는 잠을 잘 때 이를 갈거나 꽉 깨무는 행위이다. 이와 관련해 황진혁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치과 교수는 “최근 턱관절통증이나 두통으로 병원을 방문했다가 이갈이로 진단 받는 환자가 늘고 있다”며 “이갈이 환자의 66~84%가 안면부위 통증을 함께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턱관절통증이 있는 경우 이갈이가 원인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치아 마모·턱관절 장애·두통 등 증상 다양

이갈이는 보통 음식물을 씹을 때보다 2~10배 이상의 강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치아 표면은 물론 잇몸과의 경계인 치경부의 마모와 치아 일부가 떨어져 나가는 치아파절도 발생할 수 있다. 임플란트를 하더라도 이갈이와 같은 수평적 힘에는 잘 견디지 못해 추가적인 손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갈이를 방치하게 되면 만성적인 턱관절장애와 함께 치아의 비정상적인 마모, 수면 무호흡과 두통 등의 통증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팔을 많이 사용하면 팔이 아프고 잘 안 펴지는 것처럼 이갈이를 하는 동안 강한 힘으로 턱관절을 사용하면 턱은 물론 머리에도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다. 또 장기간 이갈이를 하면 사각턱 등의 외모변화도 나타날 수 있다. 

황 교수는 “이갈이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이갈이가 주로 수면 중에 발생하기 때문에 인지하기가 쉽지 않다”며 “이갈이 치료를 장기간 미루게 되면 턱관절에 무리가 와 턱관절의 기능적 이상을 초래하며 심한 경우 입이 안 벌어져 턱관절수술을 받아야 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의심증상 있으면 병원서 정확한 진단 받아야

귀 앞쪽이 뻐근하거나 소리가 나는 경우, 턱관절에 뭉쳐 있는 느낌이 있고 입을 벌릴 때 무거운 느낌이 있는 경우, 원인 모를 치통이나 두통이 있는 경우 등이 있다. 또 이를 악물게 되면 혀나 뺨에 물결 모양의 주름이 생기는데 이 역시 이갈이를 의심해 볼 수 있다. 

황진혁 교수는 “수면 이갈이는 잠을 자는 내내 나타나는 것은 아니므로 수십 년을 함께 생활해온 부부 간에도 배우자의 이갈이를 인식하지 못 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갈이가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전문의에게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근본적 치료 없어 완화·예방에 초점

현재까지 이갈이를 일으키는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근본적인 치료방법이 없는 만큼 이갈이 치료는 이갈이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증상을 치료하고 징후를 예방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한 교합안정장치는 이갈이로 인한 치아의 손상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이갈이 유무를 측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 다른 치료법으로는 저작근에 보툴리늄독소를 주사해 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줄임으로써 이악물기나 이갈이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방법도 있다.

또한 위험요인을 조절해 이갈이를 예방하기도 하는데 이갈이의 요인인 흡연, 음주, 카페인 섭취를 줄이는 것이다. 또 평소 이를 악물거나 뺨의 안쪽 살을 깨무는 버릇, 혀를 깨물거나 혀로 치안 안쪽을 밀고 있는 경우, 무의식적으로 안면 근육을 긴장시키며 이갈이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박예슬 기자 yes228@kukinews.com

박예슬 기자
yes228@kukinews.com
박예슬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