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사실상 해체 수순…그 이유와 향후 전망은?

전경련 사실상 해체 수순…그 이유와 향후 전망은?

기사승인 2016-12-28 05:00:00

[쿠키뉴스=구현화 기자] LG그룹이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대한 탈퇴와 지원 중단을 공식 선언하면서 전경련 탈퇴에 동의했던 다른 그룹들도 이탈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55년간 기업들을 회원사로 두고 활동해 온 전경련이 역사 속으로 사라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그 이유는 무엇이고 향후 시나리오가 어떻게 될지 짚어본다.

◇ 전경련 도미노 탈퇴 왜?...누적된 불만 해소 안돼, 쇄신 확실치 않아  

27일 LG그룹은 지난주 전경련을 탈퇴하겠다고 전경련 측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회비도 내지 않고 전경련 활동에도 참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국책은행과 거대공기업, 민영화된 KT도 탈퇴에 동참했고 4대그룹도 구두로 탈퇴 의사를 밝혔다. 

이들의 도미노 전경련 탈퇴는 청문회를 통해 '수금기관'으로서 전경련 조직의 한계가 보인데다가 전경련 조직 쇄신도 특검 이후로 미뤄지면서 흐지부지될 것을 우려한 움직임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전경련은 내년 2월 정기총회까지 쇄신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었으나 당장 회원사들의 의견수렴 단계부터 지지부진한 상황이었다. 지난 15일 전경련은 회원사를 상대로 쇄신안을 논의하고자 자리를 마련했지만 대부분이 불참했다. 4대 그룹 중 유일하게 LG 그룹은 부사장급이 참석했다.

전경련 탈퇴 고려에는 그동안 누적된 회원사들의 불만도 포함돼 있다는 시각도 있다. 전경련이 정부와의 관계 유지에만 힘쓸 뿐 다양한 회원사의 목소리를 대변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회원사들은 단순히 돈 내는 창구가 되고 구체적인 이익을 주지도 못했다는 평가다. 실제로 LG그룹의 경우 전경련의 압력으로 반도체 계열사를 넘기는 등 손해를 본 적도 있다. 

기업들은 기업이나 경제단체가 정권의 요구를 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 제도적 장치가 있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실제로 구본무 회장은 (정권의 요구를) "국회가 입법해서 막아달라"고 말하기도 했다. 

구 회장은 청문회에서 “전경련은 미국 헤리티지재단처럼 바꾸고 친목단체로 남기는 게 제 의견”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그간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과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 등이 “전경련을 헤리티지재단처럼 싱크탱크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을 한 바 있다. 

다만 전경련이 싱크탱크로의 전환을 꾀하려면 전경련 산하기관인 한국경제연구원에 투자될 그만한 자금이 필요하다. 지금 같은 탈퇴가 이어진다면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게 되어 해체 수순을 밟게 될 가능성이 크다. 아예 전경련이 사라지고 기업을 대표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단체가 설립될 수 있다. 

◇ 전경련 근무인력 어디로 가나?...전경련 대체할 세력은 대한상의 유력 

전경련 해체가 수순이 된 가운데 전경련에서 근무하는 본부 130여명, 유관기관까지 합쳐 250여명의 인력은 어떻게 될지도 관심사다. 빅 회원사 탈퇴로 인해 사실상 지원이 끊긴 상황에서 직원들의 고용을 유지하기 어렵게 될 수 있다. 

전경련 조직은 크게 총회와 이사회, 회장 이하 위원회와 사무국으로 나눠져 있다. 사무국은 경제본부, 산업본부, 홍보본부, 국제본부, 사회본부, 회원사업본부, 기획본부, 감사팀으로 나뉜다. 

이들 본부들은 세부적으로는 기업정책과 재정금융, 노동, 산업정책, 규제개혁, 미래전략, 국제협력, 사회공헌 등을 논의한다. 조사연구를 통해 기업의 방향을 탐색하는 역할을 해 왔다. 전경련이 해체되면 이들은 일자리를 잃게 된다. 유관기관인 한국경제연구원, 국제경영원, FKI 미디어,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 등도 존립근거를 잃어버리게 된다. 

전경련의 대체재는 무엇일까. 만약 전경련이 해체 수순을 밟으면 경제5단체(전경련,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무역협회, 중소기업중앙회) 중 경영자 입장을 대변해 왔던 단체들과 역할을 나눌 가능성이 크다. 특히 대한상의의 기능이 커질 가능성이 크다. 

경제 주요 이슈와 경제계를 대표해 건의를 하는 것은 대한상의와 전경련 역할이었다. 전경련과 번갈아가며 정재계 간담회를 주관하는 등 재계 대표단체로서 역할을 수행해 왔다. 대한상의는 주로 관료 출신이 맡아오던 회장직을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이 넘겨받으며 그 세력이 전경련에 비견될 만큼 더 커졌다. 따라서 당분간은 대한상의가 전경련의 역할을 나눠 맡는 시나리오가 가능해 보인다.

지금까지 전경련은 대기업, 대한상의는 중견중소기업을 대변했다면 이제는 대한상의가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을 아우르는 이익단체로 커질 수 있다. 대한상의는 특별법(대한상공회의소법)에 의해 적용되는 투명한 법정단체이므로 전경련에 비해 부담도 적다.

여기에 전경련의 역할을 대한상의뿐 아니라 무역협회나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등과 나누어 맡을 가능성도 있다. 전경련에 있던 연구원들을 대한상의나 무역협회로 보낼 수도 있다. 아직은 확실한 상이 나오지는 않았지만 전경련의 역할이 여타 다른 단체로 흡수되는 방식으로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경련이 짓고 있는 여의도 신사옥 부채가 남은 가운데 전경련의 역할을 떠안은 단체가 부채까지 떠안아야 하는 부담을 얻게 될 수는 있다. 

재계 관계자는 "전경련이 위상을 잃고 있는 가운데 대한상의가 그 역할을 함께 맡을 가능성이 크다"며 "경총 등 다른 협회와의 역할 분담으로 큰 문제 없이 돌아갈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kuh@kukinews.com

구현화 기자
kuh@kukinews.com
구현화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