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전미옥 기자] 보행속도가 치매 등 노화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수면장애센터 신철 교수 연구팀은 최근 한국인유전체조사사업 중 안산코호트에 참여하고 있는 2222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4m 보행 검사와 노인 인지기능 평가를 수행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8일 밝혔다.
연구 결과 평균 0.83m/s 정도로 느리게 걷는 군이 평균 1.02m/s 이상 보통 속도로 걷는 군에 비하여 노인 인지기능 평가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m 보행검사는 시작 지점을 설정한 뒤 일직선으로 4m 떨어진 지점에 도착 지점을 정하고, 평소 걷는 속도로 시작 지점에서 도착 지점에 닿을 때까지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건강상으로 문제가 없는 65세 이상 노인의 보행 속도는 1m/s 정도로 알려져 있다.
느린 보행속도가 인지기능 저하와 연관성을 보이는 이번 연구 결과는 수면 무호흡 증상을 가진 환자에서 더 분명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팀에 따르면 느리게 걷는 수면 무호흡 환자의 인지 기능 저하가 더 빠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과거 치매 환자가 경도인지장애(MCI) 노인 및 건강한 노인보다 보행속도가 느리다는 스위스 바젤대학병원 운동센터 연구, 보행 속도가 느려지고 보폭이 짧아지는 것이 기억력 등 인지기능 저하와 연관이 있다는 미국 메이요클리닉 노화연구소의 연구 등 다수의 해외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신철 교수는 “걷는 것은 우리 몸의 에너지, 운동 조절, 심장이나 폐, 혈류, 신경이나 근육을 포함하는 다수의 장기 및 근골격계의 복합적인 건강 상태가 뒷받침 돼야 한다. 보행 속도가 느리다는 것은 이러한 기능의 손상과 보행에 사용되는 에너지 효율이 낮다는 것이 반영된 것이다. 성인에게서 보행 속도의 감소는 노화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여겨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신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 노화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뿐 만 아니라 수면 무호흡 자체가 인지기능 저하와 연관되어 있음 또한 알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노인의학 분야 국제학술지(Age and Ageing) 2017년 1월호에 게재됐다. romeo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