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건설업 변해야 산다①] 틈만 나면 주택시장 '위기설'…미래 전망 '흐림'

[위기의 건설업 변해야 산다①] 틈만 나면 주택시장 '위기설'…미래 전망 '흐림'

기사승인 2017-05-01 06:00:00


[쿠키뉴스=이연진 기자] 최근 몇년 간 건설업계에는 틈만 나면 '위기설'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 주택시장은 이미 한계에 부딪쳐 공급 과잉을 걱정하고 있고 여기에 불확실성과 악재들이 겹치면서 한치 앞을 내다보기 힘들 정도로 전망은 우울하다.

국내 건설사는 주택시장이 먹여 살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주택경기 호조에 힘입어 건설사들은 국내 주택 사업 비중을 늘려고 최근 몇 년간 시장에 신규 아파트가 대거 쏟아졌다.

그 결과 시장 수요에 비해 주택이 과다 공급 되면서 과잉 공급 우려가 현실화 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 밀어내기 식으로 분양했던 아파트 입주가 본격화되면서 입주대란이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 주택시장을 둘러싸고 경기침체와 각종규제, 금리인상, 정국불안 등 여러 악재가 예고돼 있어 미래 전망은 어둡기만 하다.

◇한계에 이른 국내 주택시장…공급 과잉 '현실화'

국내 주택시장은 지난 2008년 주택보급률이 이미 100%를 넘어서며 수요가 한계에 다다랐다. 문제는 최근 2~3년간 역대 최대 규모의 아파트 공급이 또 다시 이뤄졌다는 점이다.

부동산114 집계에 따르면 최근 2년간 수요자들에게 분양된 아파트 물량이 100만 가구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국에 분양된 신규 아파트 물량은 총 45만5000가구에 달한다. 제 작년에는 이보다 많은 51만8000여 가구가 분양돼 최근 2년간 주택시장에 분양된 신규 물량은 100만 가구(총 97만3천가구)에 육박한다.

이는 정부가 장기주택종합계획에서 수립한 적정 수요가 연 37만 가구인 것을 감안하면 명백한 '초과공급'이다.

전문가들은 2015년부터 집중적으로 공급된 물량이 올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입주를 시작하면 입주대란과 시장 침체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입주물량이 한꺼번에 쏟아지면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급증하고 투자자들이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는 사태가 벌어지게 된다.

◇금리인상·부동산규제·입주폭탄 '3大 악재'

올 하반기부터 부동산 시장은 금리 인상, 부동산 규제, 입주 폭탄이 엮이는 '트리플 악재'가 본격화 될 가능성이 크다.

미국 금리 인상은 '예고된 악재' 중 하나였다. 미국 금리가 점진적으로 3%대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서 올 하반기부터는 국내 기준금리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국외로 자금이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한국은행이 국내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아파트 중도금 집단 대출이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상승하게 되고, 주택 매매를 하려는 실수요자는 부담이 가중돼 가격하락과 시장 위축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또 대선 주자들이 부동산 보유세 인상, 전월세 상한제 도입 등 부동산 규제를 공약으로 내놓고 있는 것도 악재다.

현재 여론조사에서 상승세를 달리는 야권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된다면 아무래도 시장 친화 정책보다는 시장 규제 정책을 펼칠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부동산 시장을 둘러싸고 집단대출, 원리금 상환 등 부동산 금융 규제, 국내 경기 침체 지속 등 수많은 변수와 불확실성이 잔존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하반기 부동산 시장은 호재보다는 악재가 더 많은 상황"이라며 "이로 인해 하반기에는 수요자들의 심리가 위축되고 가격도 하방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lyj@kukinews.com

이연진 기자
lyj@kukinews.com
이연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