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많은 남성일수록 아내의 임신과 출산 과정에 무심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부부의 날(5월 21일)을 앞두고 바이엘코리아의 엘레비트정과 리서치 전문기업 마크로밀엠브레인이 지난 4월 17일부터 4월 23일까지 본인 및 배우자가 임신 중이거나 임신을 계획 중인 20-49세 기혼남녀 총 400명 대상(여성 200명, 남성 200명)으로 조사한 결과, 남성 연령이 증가할수록 임신 과정에서 참여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35세 이상 여성 2명 중 1명, '임신'관련 배우자의 정서적 지지 부족
이번 설문조사에서 임신부 및 임신 계획 여성의 배우자에 대한 정서적인 만족도가 연령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임신 준비 과정에서 배우자로부터 충분히 공감 받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적게 나타났다. 20대의 경우 81.1%(77명/95명)가 배우자의 태도에 만족한다고 답했지만 30대 70.8%, 40대 54.5%로 배우자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35세 이상의 고령 임신부 및 임신 계획 여성의 배우자 만족도 또한 54.8%로 40대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임신부 및 임신 계획 여성의 배우자의 태도에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 또한 연령대별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20대는 ‘임신에 대한 이해 부족’과 ‘신체적, 정신적 변화에 대한 공감 부족’이 각각 44.4%’로 동일한 비중으로 나타났고, 30대는 ‘신체적, 정신적 변화에 대한 공감 부족’이 66.7%로 가장 높았다. 40대는 ‘임신 준비 및 유지 과정 중 비협조적인 태도’가 과반수 이상인 53.3%로 집계됐다.
또 남성의 연령이 높을수록 임신과 출산 과정에 소극적이었다. 남성 응답자의 경우 임신 계획 및 유지 과정에서 배우자와 태아를 위해 충분히 노력했는지 묻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비중이 20대 82.1%, 30대 78.1%, 40대 77.3% 순으로 나타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임신 과정에서 참여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우자와 태아를 위해 충분히 노력할 수 없었던 이유(복수응답)로는 ‘가정을 위한 경제 활동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46.5%’, ‘구체적으로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잘 모르기 때문에44.2%’, ‘임신 과정에서 남자 보다는 여자의 역할이 훨씬 크다고 생각해서18.6%’, ‘바쁜 스케줄로 인해 시간이 부족해서 18.6%’ 등을 들었다.
강남차병원 산부인과 박희진 교수는 “초혼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고령임신이 더욱 늘어나고 있는 추세로, 고령 임신부의 경우에는 임신중독증이나 고혈압성 질환, 당뇨 등 질환을 겪기 쉽고, 기형아 출산 등에 대한 우려로 부담도 높아져 배우자 비롯해 주변의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며 “부부간 임신 계획 및 유지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공감대 형성으로 건강한 아이를 출산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형아 출산' 우려 높아… 임신 계획부터 엽산 섭취 필요
실제로 임신부 및 임신 계획 여성 200명에게 임신 계획 및 유지 과정에서 가장 우려하고 있는 점에 대해 질문하자 ‘기형아 출산 가능성 등 태아의 건강 32%’에 대한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해당 답변의 응답률은 20대 28.4%, 30대 30.6%, 40대 45.5%로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선천성 장애의 약 25%를 차지하는 5대 중증 선천성 장애 중 하나인 태아 신경관 결손에 대한 인지 비중은 여성 43%, 남성 26.5% 수준에 그쳤다. 또한 임신과 관련된 정보를 습득하고 있는 채널(복수응답)은 전문가보다 주변 지인에 대한 의존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성과 남성 모두 ‘출산 경험이 있는 주변 지인’에 대해 응답한 비율이 각각 여성 66.1%, 남성 61.8%로, ‘의사 등 전문가’에 대한 여성 32.7%, 남성 37.6% 응답률 보다 월등히 높았다.
임신을 준비하는 과정에 노력한 행동을 묻는 질문(복수응답)에 대해서는 여성의 경우 ‘엽산을 포함한 영양제(비타민제) 복용 73.8%’, ‘운동 및 체중조절 54.7%’, ‘건강검진 및 산전 검진 51.2%’순으로 응답했으며, 남성의 경우 ‘운동 및 체중조절 52.9%’, ‘금주 및 금연 51.7%’, ‘엽산을 포함한 영양제(비타민제) 복용 51.7%’이 모두 비슷한 비중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박희진 교수는 “최근 선천성 기형아의 출생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태아 신경관 결손에 대한 인지율은 매우 낮은 편이며, 임신 계획 단계부터 엽산 섭취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며, “태아 신경관 결손 예방을 위해 최소 임신 3개월 전부터 0.4mg-0.8mg 엽산을 매일 섭취하는 것이 필요하며, 엽산만 복용하는 것보다 엽산의 체내 대사를 돕는 비타민 B군을 함께 복용할 수 있는 멀티 비타민제를 복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전미옥 기자 romeo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