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W중외제약, 레오파마와 4500억 규모 아토피 신약 라이선스-아웃 계약

JW중외제약, 레오파마와 4500억 규모 아토피 신약 라이선스-아웃 계약

기사승인 2018-08-24 13:37:35

JW중외제약(대표이사 전재광·신영섭)은 피부질환 영역에 특화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레오파마(LEO Pharma, 대표 지테 아보)와 혁신적인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JW1601에 대한 라이선스-아웃 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공시했다.

레오파마는 1908년 덴마크에서 설립된 메디칼 피부질환 치료 시장 1위 기업으로 후시딘, 자미올 등 피부질환 치료제를 다수 개발해 전 세계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지난 2016년 아스텔라스제약의 피부과 포트폴리오를 인수하고, 최근 바이엘 피부과 전문의약품 사업부를 인수하는 등 피부과 분야에서 경쟁력을 보유한 제약기업이다.

레오파마는 이번 계약을 통해 JW1601에 대해 한국을 제외한 전 세계 시장에서의 독점적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획득하며, 한국에서의 권리는 JW중외제약이 보유한다. 

이번 계약에 따라 JW중외제약은 레오파마로부터 확정된 계약금 1700만 달러와 임상개발, 허가, 상업화, 판매 등 단계별 마일스톤으로 최대 3억8500만 달러를 순차적으로 받게 된다. 총 계약규모는 4억200만 달러(한화 약 4500억원)에 달한다. 이와 별도로 제품 출시 이후에는 레오파마의 순매출액에 따라 최대 두 자리수 비율의 로열티도 받게 된다.

JW중외제약은 “이번 계약은 전임상 단계에 있는 신약후보물질이 막대한 규모의 상업적 가치를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는 JW1601이 갖고 있는 First-in-Class(혁신신약) 약물로서의 가치에 기인하는데, 지금까지 First-in-Class 분야에만 집중하고 있는 JW 연구전략의 결실”이라고 설명했다.

JW1601은 JW중외제약이 개발한 혁신신약 후보물질로,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의 연구비를 지원 받아 미국 식품의약국(FDA) IND(임상허가신청) 수준의 전임상 독성시험과 임상 약물 생산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금년 내에 임상시험계획(IND) 신청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후보물질은 히스타민(histamine) H4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는 면역세포의 활성과 이동을 차단하고, 가려움증을 일으키는 히스타민의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이중 작용기전을 갖고 있다.

회사 측은 “항염증 효과 위주인 경쟁 개발제품과는 달리 아토피 피부염으로 인한 가려움증과 염증을 동시에 억제하는 새로운 기전을 보유하고 있다. 경구제로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환자의 복용 편의성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신약 후보물질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또한 H4 수용체에 높은 선택성을 가지고 있어서 부작용 발현율도 현격하게 낮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계약과 괄년 레오파마의 글로벌 R&D책임자 퀄러(Kjoeller) 박사는 “아토피 피부염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경구 치료제에 대한 환자들의 언멧-니즈(미충족 수요)가 높은 질환이다. 혁신신약 후보물질인 JW1601의 글로벌 라이선스를 확보한 것에 대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레오파마는 많은 환자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고 새로운 혁신적인 솔루션을 찾고 있다. JW1601은 레오파마가 현재 개발 중에 있는 신약과 완벽한 조화를 이뤄 시너지를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JW중외제약 이경준 신약연구센터장은 “이번 계약은 피부과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레오파마에서 JW1601의 가치를 인정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앞으로 양사의 협력을 통해 개발 및 상업화도 성공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확신한다”며 “현재 진행 중인 다른 First-in-Class 후보 물질들도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용어] 히스타민 H4=히스타민은 세포증식, 분화와 혈구 생성, 염증반응, 조직 재생과 신경전달 등에 관여하는 단백질. 인체에서 히스타민은 H1, H2, H3, H4의 4가지 수용체를 통해 작용함. 이 중 H4 수용체는 비만세포, 호산구, T세포와 같은 염증세포에서 발현되며, H4 수용체를 매개로 면역세포의 이동을 조절할 뿐 아니라 면역세포에서의 사이토카인 분비를 조절하고, 히스타민에 의해 유도되는 가려움증에 작용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아직 히스타민 H4 수용체를 차단하는 치료제는 개발되지 않음.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