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아동 청소년(6~19세)의 중등도 난청으로 인한 사회적 부담이 약 160~267억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중등도 난청은 보청기 없이 말소리를 알아듣기 힘든 수준을 말한다. 그러나 보청기 지원이 되지 않는 의료 사각지대다.
이준호 서울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31일 ‘난청 아동의 학습권 보장’을 주제로 열린 국회 토론회에서 대한이비인후과학회가 진행한 ‘학교건강검진 청력검사 개선방안 연구’에서 건강보험공단 수진자료를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는 지난 2016년 대한이비인후과학회가 대한이과학회, 대한이비인후과의사회, 대한청각학회와 함께 시행한 ‘난청 줄이기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 교수는 “건강보험공단 수진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경도 또는 중등도로 가정했다. 다만 자각되지 않은 경도의 난청이 포함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난청이 지속되어도 진료를 받지 않으면 진료받지 않은 년도에는 유병자수로 포함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어 국내 소아청소년 난청에 대한 최소 추정치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또 “난청의 관리는 결국 뇌기능의 관리이며 언어발달을 통한 소통의 관리다. 개인의 평생의 삶에 영향을 준다”며 “난청 아동에 대한 전반적인 지원이 선진국에 비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보청기나 인공와우 유지비용 지원 등에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난청 아동청소년이 학교생활 및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교육·의료제도 개선 및 지원을 촉구했다.
전미옥 기자 romeo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