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도, 쓰기도 기적같은 면역항암제

효과도, 쓰기도 기적같은 면역항암제

기적의 치료제, 마지막 희망이란 환자 vs 쓰기 힘들다는 의사

기사승인 2018-11-10 01:00:00

#. A(38) 씨는 두 아이의 엄마이자 위암 말기 환자다. 아버지가 위암으로 세상을 뜬 후 매년 위내시경을 받아왔다. 딱 1번, 둘째를 임신하며 받지 못했던 검사 때문인지 출산 후 위암 3기 진단을 받았다. 의사는 복막으로 전이돼 수술을 할 수 없는 상황이며 ‘길어야 1년’이라고 했다. 이후 임상시험을 포함해 쓸 수 있는 약은 다 쓰며 치료에 전념했고, 3년이란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하지만 생존기간이 길어지며 품었던 희망은 점점 사라졌다. 약에 내성이 생겨 복막과 뼈로 전이됐고, 복수가 차는 등 상세가 급격히 나빠졌다. 최근에는 의사로부터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라는 조언도 들었다. 그러나 7살과 5살의 두 아들을 두고 떠나기 어려워서인지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다. 적어도 아이가 학교에 들어가는 날 가방이라도 싸주고 싶어 치료법을 찾아 지금도 헤매고 있다.

A씨의 이야기는 현재 진행 중이다. 길면 6개월이라는 시간을 남겨둔 그의 앞에 만약 선택지가 주어진다면 어떻게 할까. 말기 환자들에게 면역항암제로 불리는 ‘면역관문억제제’가 그런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3세대 항암제로 불리며 암 주변의 면역세포인 T세포의 기능을 높여주는 방식으로 부작용이 적고 효과도 속된 말로 ‘드라마틱’하다. 

실제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결과 1년 생존율이 42%에 달했다. 완치라고 표현하는 5년 생존율도 16%로 기존 항암치료의 완치율 6%와 비교해 과히 혁신적이다. 심지어 예후가 좋지 않다는 간세포암종 4기 환자가 면역항암제를 사용하고 몇 달 만에 암이 모두 사라져 완치상태가 됐다는 소식도 들려온다. 그래서인지 올해 노벨생리의학상도 면역항암제 개발에 기여한 이들에게 돌아갔다.

이렇다보니 환자들은 면역항암제를 ‘기적의 치료제’라고 부르며 연 7000만원을 호가하는 치료비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기대를 거는 ‘구명줄’로 여긴다. 문제는 환자들의 간절함과 달리 의사들은 면역항암제를 잘 쓰지 못 한다는 점이다. 드라마틱한 효과는커녕 효과가 거의 없거나 생존율이 오히려 줄기도 하고, 면역항암제를 쓸 수 있는 요건이나 허가사항이 제한적이다 보니 쓰지 못하는 경우들이 많아서다.

연세대 신촌세브란스병원 라선영 종양내과 교수는 최근 암학회와 위암학회가 공동개최한 ‘톡투위암’ 콘서트에서 “가장 효과가 좋은 암종은 악성 흑색종이다. 표적과 관계없이 잘 듣는다. 폐암, 방광암, 신장암에도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다. 하지만 아직 효과가 있다 없다 구분할 바이오마커도 밝혀지지 않았다”면서 모든 암에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실제 효과를 볼 수 있는 환자도 많지 않은 상황이다. 국립암센터 김흥태 교수에 따르면 지난 2년간 면역항암제 사용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지만, 임상시험결과 평균 생존기간이 12.3개월, 효과가 없을 경우 3.2개월에 그쳤다. 생존기간이 절반으로 단축되는 환자도 4명 중 1명이었다. 일반항암제 사용 시 평균 생존율 9.4개월이었던 것과 비교해볼 때 비용효과성은 떨어지는 셈이다. 더구나 효과를 보는 경우도 가장 잘 듣는다는 악성 흑생종이 40%, 기타 암은 10% 내외에 불과해 갈 길이 멀다는 의견이다.

결국 허가받지 못한 기타 암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쓰고 싶어도 쓰지 못하는 경우들이 생기는 셈이다. 그렇다보니 일부에서는 지푸라기라도 겠다며 일본 등지로 원정치료를 가는 경우도 벌어진다. 이에 라 교수는 “지푸라기를 잡는다고 살지 못한다. 물에 빠져 죽는다. 살 수 있는 막대기를 잡아야 한다. 그게 전문의들, 의사들”이라며 “전문의가 최선의 진료를 할 것이다. 의사의 판단에 맡겨주기 바란다”고 당부의 말을 전했다.

오준엽 기자 oz@kukinews.com

오준엽 기자
oz@kukinews.com
오준엽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