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9일 (목)
[인물]하트세이버 된 선생님

[인물]하트세이버 된 선생님

기사승인 2019-09-20 11:38:05 업데이트 2019-10-29 15:02:20
전주삼천초등학교 김숙주(32) 교사. 김 교사는 지난 추석연휴 첫 날 인형으로 만 해 봤던 심폐소생술을 실제 응급환자한테 해 생명을 살린 특별한 경험을 했다.

김 교사는 전남 순천의 처가를 방문, 인근 공원에서 가족과 산책을 하고 있었다. 그때 아들과 함께 달리기를 하던 40대 남성이 쓰러지더니 경련을 일으키는 것을 보게 됐다. 김 교사는 잠깐의 망설임도 없이 쓰러진 남성 곁으로 다가가서 심폐소생술을 하기 시작했다.

김 교사는 “아내에게는 119에 신고할 것을 말하고 저는 10분 이상 계속해서 심폐소생술을 진행했다”면서 “학교에서 매년 받는 심폐소생술 교육이 이렇게 큰 도움이 될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실제 심폐소생술은 환자 상태를 확인한 뒤 도움을 요청하고 흉부압박을 시도해야 한다.
 
김 교사는 앞서 달리던 아들은 아버지가 쓰러진 것을 모른 채 운동을 하고 있었다. 그래서 김 교사는 더욱 애가 탔다.
 
김 교사는 “제 아이들도 옆에 있는 상황이라 환자를 어떻게든 살려야 한다는 생각만 들었다"면서 "당시에는 힘든 것을 못 느꼈는데 집에 돌아와 긴장이 풀어지니 그때서야 온 몸이 아파오는 것을 느꼈다”고 회상했다.

당시 의식과 맥박은 되찾았지만 의식이 없었던 남성은 최근 의식을 회복하고, 일상생활이 가능한 상태로 회복중이란다.
김 교사는 “환자분 의식이 회복되지 않아서 마음 한구석이 계속 무거웠는데 지난 16일 의식이 돌아왔다는 연락을 받았다”면서 “의식회복 소식을 듣고 나니  이제야 마음이 가벼워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교사는 “방송이나 신문에서 심폐소생술로 사람을 구했다는 기사를 보면 ‘특별한 사람이겠구나’했는데 막상 내가 겪어보니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구나’ 생각하게 됐다”면서 “응급환자 발생시 누가 먼저랄 것 없이 도움을 줄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면 좋겠다”는 바람을 밝혔다. 

‘사람을 살리는 건 의사지만, 사람을 만든다는 건 교사’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교직생활을 하고 있는 김 교사는 아이들과의 하루하루가 행복하다고 말한다.
그는 “초임 때는 무척 힘들었는데 원인을 찾다보니 내가 부족하다 생각해야 아이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것이었다”면서 “아이들을 나에게 맞추려고 하는 게 아니라 내가 바뀌어야 아이들이 바뀐다는 것을 느끼게 됐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교사는 지난 13일 순천경찰서로부터 표창장을 받았고, 조만간 소방서로부터 하트세이버 인증서도 받을 예정이다. 

전주=소인섭 기자 isso2002@kukinews.com

소인섭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유소년 선수 학대’ 손웅정 감독, 출전정지 징계 취소…“지도자 등록 전 일어난 일”

유소년 선수 학대 혐의를 받은 손웅정 SON축구아카데미 감독에게 내려졌던 3개월 출전정지 징계 처분이 취소됐다.29일 강원도체육회는 전날 스포츠공정위원회를 열고 SON축구아카데미 지도자들이 지난해 3월 유소년 선수를 신체적 또는 정서적으로 학대한 사안과 관련한 징계 처분을 재심의하고 손 감독에 대한 출전정지 3개월 징계 처분을 취소했다.강원도체육회는 “손 감독의 징계는 대한축구협회 지도자 등록 이전에 행한 행위로 관련 규정을 적용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