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윤경 의원은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의 채무추심 행태를 두고 맹질타했다. 캠코가 채무조정자의 역할을 버리고 ‘거대 채권추심 공기업’이 되려 한다는 지적이다.
제윤경 의원은 이날 국정감사에서 “캠코의 2년간 채무조정 비율이 0.7%”이라며 “소각 비율도 1.1%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제 의원은 먼저 “캠코는 2017년 이후 공공기관 부실채권 4조원을 1%도 안되는 가격인 331억원에 매입했다”며 “캠코로 부실채권 관리를 일원화 한 것은 채무자의 재기지원과 관리효율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제 의원은 “캠코의 채무조정 비율은 0.7%, 소각비율은 1.1%에 불과하다”며 “여기에 캠코는 가옥하고 지독한 채권추심회사들이 하는 추심행태를 그대로 따라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제 의원은 “캠코가 소멸시효가 지나서 죽어가는 채권을 소송을 통해 다시 살리고 있다. 소송건수가 올해만 1만3000건 가량된다”며 “캠코는 적극적 채무조정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려는 것인가, 채무자를 장기간에 걸쳐 괴롭히겠다는 것인가”라고 추궁했다.
이에 문창용 사장은 "캠코가 악독채권 추심기관은 아니다. 다른 금융공공기관은 채무조정을 하지 않고 있다"며 “2011년에서 2016년까지 채무조정을 1637건을 했지만, 그 전에 비해서 채무조정이 더 증가했다”고 해명했다.
제윤경 의원 이같은 해명에 “채권을 몰아드렸으면 당연히 건수가 늘어야 하는 것”이라며 “또 매년 국감에서 적극 소송하지 말라는 요구가 나오는 데도 외부 채권추심사에 수수료 수천억씩 지불하면서 소송에 나서는 것은 해결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문 사장은 “2017년 이후 물량이 상당히 늘어나는데 채무조장이 일어나고 있다”면서 “소멸시효 연장은 매입채권이 늘어나다보니 자연스럽게 늘어난 것으로 외부추심 위탁 물량도 25%를 자체 추심으로 돌렸다”고 다시 해명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 지영의 기자 ysyu1015@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