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되는 복통과 체중감소… 단순 장염 아닌 ‘크론병’일 수도

반복되는 복통과 체중감소… 단순 장염 아닌 ‘크론병’일 수도

‘크론병’ 환자 수 5년 만에 36.7% 증가… 청년층 더 주의해야

기사승인 2021-01-20 16:15:56
#A씨(26세, 남)는 몇 달간 잦은 복통과 설사로 고생하고 있다. 자다가도 배가 아파 깨는 일이 있고 과식하면 통증이 심해져 약국에서 약도 여러 차례 복용해 보았지만, 식사를 건너뛸 때만 잠시 나아질 뿐 증상이 계속됐다. 과민성대장증후군인지 걱정하던 A씨는 도저히 참다못해 방문한 병원에서 ‘크론병’이라는 의외의 진단을 받았다.
▲사진=세란병원

[쿠키뉴스] 노상우 기자 = 복통과 체중감소가 지속된다면 단순히 장염이 아닌 ‘크론병’ 일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크론병은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기관 전체에 발생할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장 질환이다. 궤양성 대장염과 다르게 식도, 위, 십이지장, 소장 등 모든 소화기관 및,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소화기관의 모든 층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주로 소장이 대장과 연결되는 부위인 말단 회장 부위에 발병하는 경우가 흔하다.

인체를 지키는 면역계가 도리어 우리 몸을 공격하는 자가면역 질환이며, 청소년을 포함해 30대 이전의 젊은 나이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다른 소화기 질병에 비해 생소한 질환이지만 가수 윤종신이 과거 크론병으로 수술했다고 밝혀 이목을 끌기도 했다.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에 공개된 통계에 따르면 크론병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지난 2015년 1만7651명에서 2019년 2만4133명으로 36.7% 증가했다. 2019년 기준 성별로는 남성 환자가 1만6053명(66.5%), 여성이 8080명(33.5%)으로 남성 환자가 더 많았다. 연령으로는 ▲20대가 8104명(33.5%)으로 비중이 가장 컸으며 ▲30대(5993명, 24.8%) ▲40대(3812명, 15.7%)가 그 뒤를 이었다.

크론병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소화기관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불균형, 소화관 내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 및 장 점막에 대한 과잉 면역 반응에 의해 촉발되는 급성, 만성 염증이 주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 한 가족 내에 크론병 환자가 여러 명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환경적, 유전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흡연 역시 재발률, 수술률을 높이고 나쁜 경과를 예측하는 위험인자로 언급된다.

크론병 증상은 복통(93~95%), 설사(73~78%), 체중감소(79~84%)이며 수주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주 증상 외에도 발열, 전신 쇠약감, 식욕 부진, 구역, 구토, 혈변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장염이나, 과민성 대장 증후군 등 다른 질환으로 오인하기 쉽지만 증상이 3주 이상 지속된다는 점, 환자 다수에게서 항문 농양, 치루 같은 항문 질환이 나타난다는 점이 타 소화기 질환과 변별점을 지닌다. 청소년기에 발병하면 성장 장애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다른 증상 없이 재발성 및 난치성 항문 주위 농양과 치루로만 발현하는 경우도 있어 성장 장애, 난치성 항문주위 질환을 가졌다면 추가 검사를 고려해야 한다.

크론병을 방치할 경우 장의 만성 염증으로 인한 출혈, 장 유착으로 인한 반복적인 복통 및 장 폐쇄, 전층 염증으로 인한 천공, 농양, 장루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일단 발생한 이후에는 호전이 쉽지 않아 삶의 질에 큰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증상이 있는 경우 병원에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김영우 세란병원 내과 과장은 “크론병은 과거에는 우리나라에서 매우 드문 질환이었으나 최근 젊은 층 사이에서 발병률이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라며 “크론병은 악화와 재발을 반복하며 현재까지는 완치되지 않는 만성 염증성 장 질환인 만큼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나 장염과 오인하기 쉬우므로 크론병이 호발하는 20대, 30대 젊은 층에서 복통과 설사, 체중감소가 있거나 성장기 청소년에서 성장 장애가 보이는 경우 소화기내과 전문의를 찾아 소화기관의 상태를 확인해봐야 한다”고 당부했다.

nswreal@kukinews.com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
노상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